호서대 유모(61) 교수는 옥시로부터 2400만원을 받고 가습기살균제 원료인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PHMG) 독성실험 연구 결과를 조작한 의혹이 제기돼 1일 검찰 조사를 받았다. 유 교수는 민·형사소송에서 옥시 측을 두둔하는 진술서를 여러 개 써 주고 2000만원을 받은 의혹도 받고 있다.
![]() |
옥시레킷벤키저로부터 뒷돈을 받고 가습기살균제 원료 독성실험 결과를 조작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호서대 유모 교수가 지난 1일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를 받기 위해 서울중앙지검으로 들어서고 있다. 연합뉴스 |
서울대 수의과대학 조모(56) 교수도 지난달 24일 옥시로부터 연구 용역비 외에 1200만원을 받고 PHMG 독성실험 보고서를 유리하게 써 준 혐의(수뢰 후 부정처사 등)로 검찰에 구속 기소됐다. 서울대는 1일 조 교수를 직위 해제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 조작뿐 아니라 논문 조작도 적지 않다.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는 지난 4월 ‘천재 소년’ 송유근(19)군 지도 교수인 한국천문연구원 박석재 연구위원을 해임했다. 박 연구위원과 송군은 지난해 천체물리학 저널에 공동 발표한 논문이 연구 책임자인 박 연구위원의 2002년 학회 발표 자료를 표절했다는 논란을 빚었다. 저널 측은 박 연구위원이 해당 자료를 많은 부분 그대로 쓰고도 인용 사실을 밝히지 않아 표절에 해당한다며 논문을 철회했다.

횡령은 더 비일비재하다. 정부 연구·개발(R&D) 과제를 수행하며 연구 기자재 유통업자 A(44)씨를 통해 연구비 각 1억5700여만원, 1억3000여만원을 가로챈 혐의(업무상 횡령·사기 등)로 서울 사립대 공모(54) 교수와 지방 국립대 박모(52) 교수가 지난달 말 각각 벌금 2000만원, 3000만원을 선고받은 게 대표적이다.
여성 교직원이나 학생을 상대로 한 성추행도 끊이지 않는다. 서울의 한 사립대 A(53) 교수가 20대 여성 교직원을 상습 추행한 혐의(강제추행)로 지난 4월 검찰에 불구속 기소된 게 단적인 예다.
이 같은 사례들은 대학 청렴도가 바닥을 기는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 국민권익위원회가 올해 2월 발표한 전국 36개 국·공립대 청렴도는 10점 만점에 평균 5.88점에 그쳤다. 이들 대학에서 적발된 부패 행위는 연구비 횡령(44.7%)이 가장 많았고 △금품 수수(23.7%) △직권남용(18.4%) △공금횡령(10.5%) 등 순이었다. 이 중 교수가 저지른 부패가 76.3%에 달했다.
전문가들은 부정부패에 연루된 교수들에 대한 징계를 높여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대학교육연구소 김삼오 연구원은 “대학이 외부 규제를 덜 받는 폐쇄적인 곳인 탓에 일탈해도 괜찮을 것이라 여기는 교수들이 생긴다”며 “부정부패가 적발되더라도 동료 교수가 처벌 수위를 정하다 보니 강력한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게 이런 태도를 강화한다”고 분석했다.
서울대 우희종 수의과대학 연구윤리위원은 “대학에 성과급제가 도입된 뒤 연구 실적 등으로 유명해진 교수는 학내에서 재량권이 높아지는데 그런 권위에 익숙해지다 보면 도덕적 해이로 이어진다”면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온정주의를 극복하고 징계 수위를 엄격하게 지켜 나가야 한다”고 꼬집었다.
박진영·남혜정 기자 jyp@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