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공감!문화재] 신라인의 유별난 곱돌사랑

관련이슈 공감 문화재

입력 : 2016-08-17 21:22:43 수정 : 2016-08-17 21:22:43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경주 시가지 유적을 발굴하면 반드시 출토되는 유물이 있다. 전국 어느 발굴현장에서도 이 유물이 출토되면 통일신라시대 유적임을 알 수 있다. 곱돌로 만든 각종 생활용품(사진)이다. 손잡이가 달린 약탕기 형태, 차를 끓이는 소형 주전자, 솥, 종지 등 용기류가 가장 많고 무게를 다는 추, 인장과 남근석까지 출토되고 있다.

신라의 곱돌 사랑은 언제부터 시작됐을까. 신라는 통일(676년) 전까지 곱돌로 만든 유물이 나타나지 않았다. 백제의 경우 부여 군수리절터에서는 6세기대 곱돌로 만든 불상(보물 329호)이 있어 삼국이 통일되면서 돌을 다루는 기술이 유입되어 신라 문화를 주도하게 되었다고 본다.

예배의 대상과 예술품도 중요하지만, 일상생활에서 신라인은 최고의 맛을 곱돌에서 뽑아내었음이 출토유물로 증명되고 있다. 특히 경주 월성과 황룡사지 주변 등 중심지에서 곱돌유물의 출토빈도수가 훨씬 높아 귀족들의 애용품이었음이 틀림없다. 9세기 초 당나라 학자인 한유가 돌솥을 예찬하는 시를, 11세기 말 소동파는 물을 끓이기에 돌솥이 가장 좋다고 읊었고 ‘구지필기’에는 골동반(骨董飯·비빔밥의 한자 표기)도 언급되어 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임금이 상으로 돌솥을 하사했으며, 영조 때 실학자 유중림은 밥 짓는 솥 중 가장 좋다고 했다. ‘음식에 담긴 우리네 삶과 역사’의 작가는 기록을 볼 때 돌솥비빔밥이 1000년 이전부터 진화했다고 한다.

중국의 가장 오래된 기록이 9세기부터라면, 돌솥도 밥맛도 통일신라에서 당나라로 수출된 것은 아닐까. 돌솥비빔밥은 전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으며 건강식으로 각광받고 있다.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서는 데워진 돌솥은 별도 메뉴로 하고 각종 채소나 고기류를 자유로이 선택해서 올려 먹는 방식이 인기가 있다고 한다. 국내에서는 메뉴선택권이 없는 돌솥비빔밥의 ‘국제적 진화’라고나 할까. 저녁 메뉴로 곱돌판에 항정살과 김장김치가 어떨까.

이은석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관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피프티피프티 키나 '청순&섹시'
  • 피프티피프티 키나 '청순&섹시'
  • 박신혜 '미소 천사'
  • 이세영 '청순미 발산'
  • 뉴진스 다니엘 '반가운 손 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