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이 깊어지면서 처음으로 내리는 서리를 첫서리라 한다. 전국 곳곳에서 첫서리가 관측되고 있다. 산간 지역은 첫서리가 빠르고 남해안·동해안 등 해안 지역은 늦다. 서리는 다른 기상 현상과 달리 전체 서리 일수보다 첫서리와 마지막 서리가 더 큰 의미를 지닌다. 마지막 서리와 첫서리 사이의 무상(無霜) 기간에만 농작물의 생육이 가능하다. 첫서리는 농부에게 농사가 끝났음을 알려준다.
서리가 생길 때 식물의 잎 등 세포조직이 얼어붙어 손상되는데, 농작물이 피해를 입는 것을 상해(霜害)라 한다. 찬 공기가 흐르는 것처럼 상해가 좁고 길게 발생하는 지역을 상도(霜道)라 하고, 냉기가 모여 상해를 일으키기 쉬운 움푹 파인 땅을 상혈(霜穴)이라 한다. 서리꽃이란 말도 있다. 추위로 식물 줄기 안이 깨지거나 갈라질 때 물이 빠져나오면서 꽃의 형태로 언 것이다.
추사 김정희는 세도가 안동김씨의 일원인 김병학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런 말을 한다. “하늘에 기러기 날고 첫서리가 내리는 데다 또 국화철을 만나게 되니, 얼마 전 같은 열기와 번뇌를 생각하면 오늘날 이 서늘바람이 불어줄 줄을 뉘라서 예측했겠습니까. 천기(天機)의 돌고 돎이 이와 같은가 봅니다.” 유교 경전인 ‘주역’에는 “이상견빙지(履霜堅氷至)”라는 구절이 있다. 서리가 밟히면 장차 단단한 얼음이 어는 시절이 온다는 뜻이다. 어떤 일이 이루어지기 전에 그 조짐이 나타남을 비유한 말로 쓰인다. 자연의 변화는 이처럼 예측 가능하다. 부지런한 농부는 적기에 이런 변화에 대처할 수 있다.
첫서리를 보면서 계절의 순환은 누구도 거스를 수 없는 철칙임을 깨닫는다. 이 당연한 이치를 알지 못하는 사람도 있다. 어제 피의자 신분으로 검찰에 출두한 최순실씨를 떠올리게 된다.
박완규 논설위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