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정권 창출의 꿈… 여 '4월말 퇴진' 당론 채택

입력 : 2016-12-01 18:39:24 수정 : 2016-12-01 22:36:31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탄핵 통한 불명예 퇴진 땐 내년 대선 '치명적 악재' 판단 새누리당이 1일 박근혜 대통령의 내년 4월 말 퇴진, 6월 말 대선을 당론으로 채택한 것은 박 대통령에게 ‘질서 있는 퇴진’의 문을 열어주는 동시에 초읽기에 몰린 ‘탄핵정국’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박 대통령에게 일정 부분 마지막 예우를 갖춰 보수진영 분열과 국정공백을 최소화하는 게 유리할 것이란 판단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탄핵을 통한 불명예 퇴진은 박 대통령과 운명공동체인 집권여당에도 대선 기간 내내 치명적인 악재로 작용할 수 있어서다.

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와 김무성 전 대표가 1일 오후 국회 본회의장에서 대화를 하고 있다.
이제원기자
새누리당은 이날 오전 의원총회에서 만장일치로 박 대통령이 내년 4월30일까지 물러나는 것을 당론으로 정했다. 내년 4월 말로 퇴진 시점을 잡은 것은 향후 정치 일정을 염두에 둔 포석이다. 비상대책위원회 구성을 포함한 당 운영체제를 확정하고, 대선후보 선출을 위한 당내 경선 등에 소요되는 물리적인 기간을 감안한 것이다.

박 대통령이 4월 말에 물러나면 헌법에 따라 퇴진 이후 60일 이내인 6월 말에 대선을 치러야 한다. 탄핵을 강행하더라도 노무현 전 대통령 사례보다 사안이 복잡한 데다 최대 120일까지 활동하게 될 특검 수사 결과를 반영할 경우 헌법재판소 탄핵심판이 4월까지 늦춰질 수 있다는 논리도 작용했다. 새누리당은 이런 부분을 근거로 탄핵 대신 퇴진 일정에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을 설득한다는 방침이다. 정진석 원내대표는 의총 직후 기자들과 만나 “정치 일정의 불확실성을 제거한 만큼 야당도 성의 있는 반응을 내고 대화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새누리당 이정현 대표(오른쪽)가 1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원유철 의원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이제원 기자
이날 의총에서 일부 비박(비박근혜)계 의원은 여야가 협상에 실패하거나 박 대통령이 퇴진 일정을 수용하지 않을 경우에 대비한 계산도 필요하다는 주장을 편 것으로 알려졌다. 당론을 채택하기에 앞서 청와대에 수용 여부에 대한 의사 타진을 해야 한다는 제안도 나왔지만, 야당 설득이 우선이라는 의견이 더 많았다고 한다.

새누리당 비상시국위원회 소속 의원들이 1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비상시국위원회 대표자-실무자 연석회의에서 의원들이 인사를 하고 있다.
이제원기자
비박계가 주축이 된 비상시국위원회는 의총에 앞서 대표자·실무자 연석회의를 열고 박 대통령이 사퇴 시한에 대해 조속히 입장을 표명하라고 거듭 촉구했다. 여야가 최종적으로 퇴진 일정 조율에 실패한 뒤에는 탄핵을 그대로 밀어붙인다는 방침이지만, 찬성 동력이 얼마나 유지될지에 의견이 분분한 상황이다.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가운데)와 국민의당 박지원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왼쪽), 정의당 심상정 상임대표가 1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야 3당 대표 회동에 참석하고 있다.
이재문 기자
비박계 김성태 의원은 라디오 인터뷰에서 탄핵 찬성 여부와 관련해 “대통령의 3차 담화문에 영향을 받긴 했다”며 “특히 영남권에서 대통령 탄핵에 찬성 입장을 보이던 의원들이 ‘대통령이 국회에서 여야 간 합의만 이뤄내면 언제든지 사퇴하겠다는 것인데 굳이 탄핵까지 해야 하는 것이냐’는 입장을 보였다”고 전했다. 여권 대선주자로 꼽히는 유승민 의원은 기자들과 만나 “여야가 서로 진지하게 협상을 해보고 협상이 되면 그 결론대로 가는 것이니 탄핵은 가능성이 없어진다”면서도 “협상이 안 되면 탄핵으로 갈 수밖에 없다는 입장에는 변화가 없다”고 말했다.

박세준 기자 3ju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황우슬혜 '매력적인 미소'
  • 황우슬혜 '매력적인 미소'
  • 안유진 '아찔한 미모'
  • 르세라핌 카즈하 '러블리 볼하트'
  • 김민주 '순백의 여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