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12·28 한·일 일본군위안부 문제 합의를 둘러싼 중국과 일본의 보복 조치에 이어 북한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 발사를 위협하고 나섰다. 여기에 자국 제일주의를 강조하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자의 미국,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러시아도 한국의 외교안보 행보에 중대 변수로 부상하고 있다. 김정은 조선노동당 위원장, 트럼프 당선자,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푸틴 대통령,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대외 강경책이 박 대통령 탄핵 사태에 따라 외교안보 컨트롤타워가 없는 대한민국을 몰아붙이는 형국이다.
노동자합숙소 둘러보는 김정은 북한 김정은 조선노동당 위원장(가운데)이 할머니의 이름을 딴 김정숙평양제사공장을 시찰하며 새로 건설된 노동자합숙소를 둘러보는 사진을 9일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 연합뉴스 |
중국은 사드와 관련한 대한(對韓) 압박을 계속할 것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지난 6일 새해 중국 외교의 5대 키워드로 트럼프, 거버넌스(협치), 이웃, 19대(중국공산당 19차 대회) 등을 선정했다. 이 중 이웃은 주변국과의 관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드, 남중국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트럼프 신정부에서 예상되는 미국의 아메리카퍼스트, 보호무역주의도 ‘열린 경제’의 한국에는 불안 요소다. 박 대통령의 대북 압박 정책에 따라 남·북·러 협력 사업이 무산되면서 불만을 품고 있는 러시아도 어떻게 나올지 모르는 상황이다.
박근혜 대통령과 미 대통령 당선인 도널드 트럼프, 아베 신조 일본 총리(상단 왼쪽부터) 북한 김정은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하단 왼쪽부터) |
김흥규 아주대 중국정책연구소장은 “과거처럼 친미냐 친중이냐, 사드 반대냐 사드 찬성이냐는 식으로 이분법적 사고방식으로 새로운 국제질서의 난국을 헤쳐나아가기 힘든 상황”이라며 “새로운 전략을 시도하기보다는 현 상황을 관리하고 불확실성을 야기하는 변수를 객관적으로 평가해 대응하는 신중한 외교안보 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도 “막연하게 주변국 이익에 관습적으로 동의하는 외교안보 행태를 하지 말아야 한다”며 “우리 국익에 부합하는 전략을 객관적이고 냉정하게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청중·박수찬 기자 c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