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역동적인 경선은 흥행으로 이어지며 컨벤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2002년 당시 민주당 노무현 후보가 그랬다. 한 자릿수 지지율에 그쳤던 그가 제주 경선에서 3위를 차지하더니 울산, 광주에서 잇달아 1위를 차지하는 파란을 일으키며 결국 ‘이인제 대세론’을 허물어뜨렸다.
민주당은 이번에도 투표인단 수가 적은 권역부터 순회경선을 실시하고 개표결과를 바로 공개해 역동성을 높이겠다는 복안이다. 그러나 순회경선 횟수가 최대 4차례로 줄고 16일 안에 절차를 마무리해야 하는 까닭에 반전의 가능성은 크게 낮아졌다는 평가다. 여간해선 문재인 전 대표 대세론을 뒤집기 어렵다는 얘기다.
하지만 이재명 성남시장은 페이스북에서 “최대 100만명이 투표한다고 가정했을 때 20명씩 투표시킬 2만5000명만 있으면 (50만명이 되므로) 이길 수 있다”고 자신했다. 이 시장 측 제윤경 의원은 “손가락혁명군 등 적극적 지지자 수가 적지 않은 만큼 우리도 해 볼 만하다”고 했다. 안희정 충남지사는 토론회 등 검증 절차를 통해 자신의 잠재력과 비전을 널리 알리는 정공법으로 승부를 걸겠다는 전략이다. 안 지사 측 박수현 전 의원은 “우리를 두고 조직력 열세라고 하지만 출마선언 후 상승세를 탄 안 지사가 경선 과정에서 자기만의 빛을 발하면 충분히 승산이 있다”고 말했다.
과반 득표자가 나오지 않으면 결선투표를 하기로 한 것도 변수로 꼽힌다. 2015년 정의당 대표 선거에서 심상정 후보는 31.2% 득표로 노회찬 후보(43%)에 밀렸지만 결선에서 역전 드라마를 쓴 바 있다.
◆패자의 승복 가능할까
룰 협의 과정에서 김부겸 의원과 박원순 서울시장의 야 3당 공동경선 주장이 받아들여지지 않은 것은 훗날 당내 분열의 씨앗이 될 수 있다. 2012년에는 모바일 투표 공정성 시비로 경선이 초반부터 파행으로 치달았다. 일부 대선주자가 “모든 진영이 흔쾌히 수용해 결과에 승복할 수 있는 룰”을 요구했던 이유이기도 하다. 추미애 대표는 이날 당무위에서 “일부 후보들의 제안과 당무위원들 의견을 존중해 공동정부 구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히며 이들 두 주자를 다독였다.
촉박한 일정 탓에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당내 경선 위탁 관리가 불분명한 점도 나중에 공정성 시비로 이어질 수 있다.
유태영 기자 anarchy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