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은 이와 같은 설 민심을 제대로 파악하고 경제 침체와 탄핵 및 대선 정국에 대한 해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 설상가상의 국가적 위기상황에서 정치권은 국민에게 희망을 주는 정치리더십을 발휘해야 할 것이다. 우선, 민생회복과 경제활성화이다. 이미 조선업 위기와 자동차 수출 부진으로 초래된 국가경제 주력 산업의 구조적 침체를 타개할 대안을 모색해야 하며, 청년실업과 비정규직 문제를 조속히 해결할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정치경제의 복합적 위기상황에서 경제위기를 극복할 정치리더십이 매우 절실하다. ‘위기가 기회’라는 격언처럼 탄핵의 국정 불안정 속에서도 기지를 발휘해 대통령 권한대행체제와 국회가 협력해 필요한 입법을 통해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정책적 추진력을 발휘해야 한다. 그리고 여소야대의 이점을 살려 배제와 대립보다는 협치의 정신을 발휘해 그동안 쟁점이 됐거나 꼭 필요한 새로운 입법을 추진한다면 경제활성화의 길이 열릴 수도 있다.
양승함 전 연세대 교수·정치학 |
정치경제의 국가적 위기에 대해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 상황에서 그나마 기대할 것은 4월 말, 5월 초로 예상되는 ‘벚꽃 대선’에 출마하는 대통령후보들이다. 그러나 설 민심은 이들 후보에 대해서도 누구 하나 결정적으로 만족해하는 것 같지 않다. 현재 문재인 대세론이 나오고 있으나 이것이 조기대선 때까지 이어질지는 변수가 너무 많다는 것이다. 여론선동을 통해 대선 후보들이 권력 장악에만 집착한다면 그것은 필패로 가는 첩경이다. 개헌 중심의 제3지대 합종연횡도 마찬가지다. 이들은 광장정치와 거리정치를 제도적으로 흡수하도록 하고 국가적 위기를 타개할 비전과 철학을 제시해야 한다. 그 첩경은 민생 타개를 위한 협치와 입법과 정책을 통해서 리더십을 발휘하는 것이다.
현재로서는 국회가 정치의 중심이 될 수밖에 없다. 국회의원들은 대선 후보에게 줄서기보다는 효율적 국회운영을 통해 입법 활동에 주력해야 한다. 탄핵과 대선정국 약 90일 동안 현역 국회의원들이 대선운동캠프에 참여하느라 국회 입법 활동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국회의원들이 대선 후보에 대해 정치적 지지는 할 수 있어도 선거운동에 전념해서는 안 된다. 민생을 위해 국회의 협치, 권한대행 정부와의 협력 등 궁극적으로 협치 리더십을 발휘하는 지도자가 대통령이 되지 않겠는가.
정치권이 주목해야 할 것은 리더십 부재의 장기화에 따른 혼란과 여야의 극한 대결로 정치 불신이 가중되고 있다는 점이다. 정치권은 말로만 혁신과 반성을 외칠 것이 아니라 설 밥상머리에서 분출된 민심을 겸허히 받들어 책임을 다해야 할 것이다.
양승함 전 연세대 교수·정치학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