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선 과정 중 후보들 사이에는 크고 작은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첫 공방은 안희정 후보의 ‘선한 의지’ 발언에서 불붙었다. 안 후보는 2월19일 부산대에서 열린 즉문즉답 행사에서 “이명박, 박근혜 대통령 분들도 선한 의지로 없는 사람들과 국민을 위해 좋은 정치를 하려고 했다”며 “그런데 그게 뜻대로 안 됐던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해 논란의 중심에 섰다. 안 후보 측은 다음날 “비유와 반어였다”고 해명했지만, 문 후보는 “안 지사의 말에 분노가 담겨 있지 않고 빠져 있다”며 꼬집었다.

5차 토론회(3.19)에서 문 후보가 자신의 투철한 국가·안보관을 강조하는 차원에서 “군 복무 당시 전두환 장군으로부터 표창을 받았다”고 한 발언은 이후 경선 판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다른 후보들 사이에서 이에 대한 강도 높은 비판이 이어졌고, ‘네거티브전’으로 비화됐다.
![]() |
더불어민주당 안희정 후보가 3일 서울 고척스카이돔에서 열린 제19대 대통령후보자 수도권, 강원, 제주 선출대회에서 정견 발표를 하고 있다. 이재문기자 |
또한 지난달 22일 밤에는 현장투표소 개표 결과가 유출돼 논란을 불렀고, 대전·충청지역 토론회는 방송 송출을 놓고 논란이 빚어져 당초 10차례의 토론회를 1차례 추가하며 빈축을 사기도 했다. 토론회는 총 11차례가 진행됐으나, 각 후보에 대한 ‘수박 겉핥기’식 검증으로 ‘맹탕 토론회’였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이 같은 여러 논란과 공방이 끊이지 않았지만, 문 후보는 지난달 27일 시작된 호남 순회 경선을 시작으로 한 차례도 선두 자리를 내주지 않으며 ‘대세론’을 이어왔다.
김선영 기자 007@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