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왼쪽)가 3일 서울 고척스카이돔에서 열린 수도권·강원·제주 선출대회에서 대선후보로 선출된 직후 다른 후보들과 인사하고 있다. 왼쪽부터 문 후보, 안희정 후보, 최성 후보, 이재명 후보. 이재문 기자 |
하지만 문 후보는 2012년 대선 당시 ‘원팀’을 구성하지 못해 패배한 쓰라린 경험을 갖고 있다. 당내 경선에서 패배한 손학규 후보 등의 협력을 이끌어내지 못했다. 또 안철수 후보와 ‘아름답지 못한 단일화’에서 입은 내상이 컸다.
![]() |
두 번째 대권 도전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3일 서울 고척스카이돔에서 열린 민주당 수도권·강원·제주 경선에서 대선 후보로 공식 확정된 뒤 두 손을 번쩍 들어 지지자들을 향해 인사하고 있다. 이재문 기자 |
그러나 과연 문 후보가 원팀을 성공적으로 만들 수 있을지에 대해선 낙관론 못지않게 회의적 시각도 많다. 현직 지자체장으로서 선거운동에 직접 나서는 데 제약이 있는 안·이 후보의 협력 여부는 차치하고 양 캠프 세력이 적극적으로 문 후보 측에 가세할지는 불투명하다.
애초 안·이 후보 진영 인사들은 문 후보 측은 아예 인정조차 않는 ‘친문(친문재인) 패권주의’를 비판하며 참여한 이들이 다수다. 경선과정에서 벌어진 ‘문자 폭탄’ 시비 이전부터 패인 감정의 골이 깊다. 문재인캠프가 대선용으로 확대 개편하는 과정에서 이들을 흡수해야 할 텐데 ‘용광로 선대위’를 차리기는 어렵고 일부 인사 개별 합류 수준에 머물 것이란 관측도 있다.

문 후보의 임종석 비서실장도 이날 페이스북에 “문자 폭탄이나 18원 후원금 등은 함께 해야 할 동지들에게 깊은 상처를 남겼고, 정권교체에 이견이 없는 많은 동지의 마음이 다치고 또 닫혔다”며 “용광로 캠프를 구성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여전히 부족함을 느낀다. 문 후보를 지지하는 과정에서 다른 사람들에게 남긴 상처를 돌아봐야 할 때”라고 글을 올렸다. 문 후보 지지자들에 대한 당부 형식을 빌려 안·이 후보 측에 과열 경선 과정에서 빚어진 불상사를 사과한 것으로 읽힌다.
박성준 기자 alex@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