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한 낙관과 비관이 상존하고 있지만 빅데이터 기반 융복합산업의 발굴 가능성은 기회임이 분명하다. 앞으로 경험하게 될 초연결사회는 천문학적인 양의 빅데이터가 생성되고 분석되면서 지금까지 접해보지 못한 새로운 서비스의 등장을 예고하고 있다.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물의 연결을 넘어서 사물과 사물의 연결은 상상조차 할 수 없을 정도의 빅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기회를 창출할 수 있다.
![]() |
한경록 광주전남연구원 책임연구위원 |
4차 산업혁명 시대는 초연결사회로의 변화가 가속화하면서 빅데이터 확보에 따른 분석 능력이 경쟁의 본질로 부각될 것이다. 기업이나 기관의 레거시 시스템에 저장된 데이터를 다루던 시대를 지나 최근에는 모바일기기로부터 얻어진 소셜데이터가 폭증하고 있고 앞으로의 IoT 시대에는 사물 간의 통신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마주하게 된다. 각종 센서나 드론 등을 통해 기존에 없던 데이터가 생기는 것이다.
빅데이터를 잘 활용해서 기업의 가치를 키워 성공한 사례는 많다. 국정 전반에도 빅데이터 분석이 제대로 활용되면 국가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 5월에 있을 대선을 앞두고 후보들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공약을 발표할 것이다. ‘데이터 드리븐 국가’와 같은 차원 높은 국가 경영 모델이 제시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새 정부에서는 빅데이터산업 생태계 구축에 집중하고 곳곳에 쌓아둔 데이터를 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법과 제도의 개선 방안이 반드시 마련돼야 한다. 특히 데이터 과학자와 같은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전문인력 양성 로드맵을 구체적으로 수립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혁신형 스타트업 기업을 중심으로 하는 창업경제 활성화를 꾀해야 한다.
요즘은 어딜 가나 4차 산업혁명 이야기다. 기계가 인간의 손과 발뿐만 아니라 두뇌를 대체하는 단계에 접어들면서 창의력과 통찰력은 더 중요해지고 있다. 모든 산업의 근본적인 원료가 데이터라는 점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결국 데이터와 사람의 문제다. 데이터는 만져지지는 않지만 초연결과 융합의 과정 속에서 가치가 극대화된다. 그리고 그 가치를 더욱 빛내기 위한 전문인력 양성에의 투자는 필수다. 지능정보사회로의 진입은 이미 시작됐다.
한경록 광주전남연구원 책임연구위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