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일 중앙선관위에 따르면, 이번 대선에서 원내 5개 정당에게는 총 421억4200만원의 선거보조금이 지급될 예정이다. 후보등록(15,16일)이 끝나면 오는 18일 더불어민주당 124억9000만원, 자유한국당 119억7400만원, 국민의당 86억6400만원, 바른정당 63억3900만원, 정의당 27억5600만원의 보조금이 배분된다. 그러나 선거비용 제한액은 후보 1인당 509억9400만원이다. 현행 공직선거법상 15% 이상의 득표율을 얻은 후보는 선거비용 전액을 보전받는다. 10∼15%를 득표할 경우 절반만 돌려받는다.


정의당 심상정 후보는 선거비용 보전 기준에 연연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완주해 의미있는 득표율을 기록하는 게 목표다. 정의당 한창민 대변인은 “법정 선거비용의 10분의 1에 해당하는 52억원 정도로 예산을 편성해 효율적으로 선거 준비를 하고 있다”며 “선거보조금과 후보 계좌 후원금, 당원들이 십시일반 모아준 특별당비면 별 문제가 없어, 돈을 염두에 둔 단일화는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진보정당 후보가 대선에서 3%대 지지율을 기록한 것은 2002년과 2007년 민주노동당 권영길 후보가 유일하다. 2012년 대선 당시 심 후보는 당시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를 지지하며 중도하차했고, 당시 통합진보당 이정희 후보도 투표 사흘 전 사퇴했다.
이번 대선에서도 민주당 문재인,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가 접전 양상을 펼칠 경우 심 후보의 의지와 상관없이 진보진영에 쏟아질 거센 단일화 압박이 대선 완주의 최대 걸림돌이 될 전망이다.
민주당과 국민의당은 상대적으로 느긋한 위치에서 선거를 준비 중이다. 비용보전을 걱정할 필요가 없는 경우 통상 회계보고 여유분과 예비비를 감안해 선거비용 상한선의 90% 수준으로 예산을 책정하는 계 관례다. 2012년 대선 때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는 479억1500만원,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는 484억9900만원을 썼다.
한편 선관위는 이날 이번 대선에 참여할 수 있는 재외국민이 29만4633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재외선거가 처음 도입된 2012년 19대 총선 이후 역대 최대 규모다.
박세준 기자 3ju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