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각자 자리로… 윤병세 외교부 장관(오른쪽)이 10일 한국을 방문해 서울 종로구 외교부청사를 예방한 북핵 6자회담 중국 측 수석대표 우다웨이 외교부 한반도사무특별대표와 대화하기에 앞서 인사를 나눈 뒤 각자 자리로 향하고 있다. 하상윤 기자 |
김 본부장은 북한의 미사일 시험발사 중단과 대화 재개를 연계할 수 있음을 시사한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의 언론 인터뷰 내용을 언급하며 “내가 알기로 미국 입장은 현재 북한과 대화할 조건이 전혀 성숙해있지 않다고 보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일단 대화보다는 북한에 대한 제재, 압박에 방점이 찍혀있다는 얘기다.
사드(THAAD·고고도방어체계) 문제에 대해서는 우 대표가 반대 기조를 고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 대표는 우리 측 외교 당국자들을 만난 후 대선주자 측 접촉을 이어갔다. 정재흥 세종연구소 연구위원은 “중국이 대선주자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외교안보 소식통에 따르면 “토니 남궁 전 부소장이 한국을 찾아 민주당과 국민의당 관계자와 비공개 만남을 가진 것으로 안다”며 “새 정부 출범 이후 북한과의 비공개 물밑접촉을 논의하기 위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남궁 전 부소장의 방한 시기는 대선을 불과 한 달 남겨둔 시점이다. 새 정부 출범에 대비해 남북 간 물밑접촉 가능성을 타진하고 구체적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차원으로 보는 해석이 나오는 배경이다. 각종 여론조사 결과 현 시점에서 집권 가능성이 큰 정당의 관계자들과만 만난다는 점도 이러한 관측에 힘을 실어준다. 남궁 전 부소장은 미국 국적의 한인으로, 1990년대부터 북·미, 북·일 교섭을 막후에서 성사시킨 숨은 주역이다. 지난해 10월 미국 대선을 앞두고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있었던 북·미 민간 접촉도 그의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북한 외무성의 리용호 외무상, 한성렬 부상, 최선희 미국국 국장과 오랜 기간 친분을 나눈 사실을 공개한 바 있다.
김민서·김예진 기자 spice7@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