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와 군 당국은 이러한 위기설에 대해 ‘안보 괴담’ 수준이라며 일축하고 있다. 당국은 “최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에 유포되는 한반도 안보 상황의 과장된 평가에 대해 현혹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는 것을 당부드린다”며 “‘4월 한반도 위기설’은 근거가 없다”고 없다고 밝혔다.
![]() |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
하지만 한때 집권여당이었던 한국당은 이러한 분위기를 대선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파면으로 보수정당에 불리하게 ‘기울어진 운동장’ 선거 구도를 반전시키기 위함이다.
![]() |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선 후보 |
그는 “태평양을 지키는 7함대 항공모함이 아닌 미국 본토를 수호하는 3함대 소속 칼빈슨 항모전단이 온다는 것은 중요한 의미인데 간과하고 있다”며 “미국에선 벌써 우리나라를 조금 멀리하고 있고, 정보가 북한으로 넘어갈까 우려하고 있다. 선제타격을 우리하고 협상하고 하느냐 안하느냐는 우리 노력에 달렸다”고 강조했다. 홍준표 후보도 4월 위기설을 꾸준히 언급하면서 대선의 프레임을 ‘탄핵 대선’에서 ‘안보 대선’으로 전환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
과거 집권여당이었던 한국당은 황 권한대행의 대선 출마를 놓고 긴밀한 교감을 주고 받으며 당정 협의도 수차례 했었다. 하지만 황 권한대행이 불출마를 선언하고 홍 후보가 대선후보로 확정되면서, 안보 상황을 놓고 서로 손발이 맞지 않을 정도로 거리가 멀어졌다. ‘국정수습’과 ‘대선’이라는 각자의 이해관계가 달라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재호 기자 futurnalist@seyg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