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오전 이날 한국기자협회 주최로 서울 상암동 SBS공개홀에서 열린 19대 대선 후보자 초청 합동토론회에서 문 후보는 "안 대표가 민주당 대표를 할 때 5·18 정신과 6·15선언을 당 강령에서 삭제하자고 했다"고 지적했다.
그러자 안 후보는 "그렇지 않다. 실무 논의상황에서 잘못된 발언이 나와 바로잡았다. 지금 국민의당 강령을 보면 모두 명시돼있다"고 반박했다.
이에 문 후보는 "(민주당 강령 삭제 건은) 비판받아 철회했죠"라고 되치기 했고 안 후보는 "잘못 알려진 흑색선전이었다"라며 물러서지 않았다 .
그러면서 안 후보는 '5·18 정신을 헌법 포함에 동의하느냐'는 문 후보의 질문에 "동의한다. 작년 11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을 이끌어낸) '비폭력 평화혁명'도 포함시켜야 한다고 본다"고 제안했다.
4차산업혁명과 관련한 정부의 역할에 대해서도 문과 안, 두 후보는 설전을 펼쳤다.
안 후보가 "다음정부에서 과학기술 정책과 예산을 선택과 집중하자는 의견도 있고, 다른 쪽에서는 여러가지 시도를 다양하게 하자는 의견이 있는데 어디에 동의하느냐"고 물었다.
문 후보는 "과학기술과 4차산업혁명은 안 후보가 전문가인데"라며 한차례 답변을 미뤘다가 안 후보가 거듭 답변을 촉구하자 "기초과학연구가 긴 호흡으로 가야하고 보다 많은 투자가 이뤄져야 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린다. 그것을 기다려주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기다렸다는 듯 안 후보는 "기다려야 한다는 게 무슨 뜻인가. 정책적으로 어떻게 하는 것이 기다려주는 것인가"라고 쏘아붙였다.
그러자 문 후보는 "일본은 노벨과학상 수상자가 나왔는데 우리는 기초연구가 부실해 후보도 못냈다"고 했다.
이를 받아 안 후보는 "기다려준다는 의미는 결과 위주가 아닌 과정 위주의 감사를 하고 실패해도 불이익을 주지 않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태훈 기자 buckba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