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소식통에 따르면 우 대표는 지난 11일 민주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송영길 총괄본부장 등과의 비공개 면담에서 대선 국면에서 가장 우려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물어왔다. 문 후보 측은 이에 “북한의 6차 핵실험이 가장 우려된다”며 “북한이 6차 핵실험을 할 경우 한국이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반대를 지속하기 어렵다”고 답했다. 우 대표는 “중국도 북한의 행동은 예측할 수 없다”면서도 “전반적 느낌은 진보진영을 곤란하게 하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 |
더불어민주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송영길 총괄본부장(오른쪽)이 지난 11일 서울 여의도 국회를 방문한 우다웨이 중국 외교부 한반도사무특별대표와 만나 악수한 뒤 각자 자리로 향하고 있다. 세계일보 자료사진 |
우 대표는 또 “중국도 북핵 추가 도발을 매우 우려하고 있다”며 “북·중 접경지역에서 100㎞에서 떨어진 곳에서의 핵실험으로 지진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100㎞면 서울∼인천 거리로 인천에서 핵실험을 하는 것을 서울시민이 느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서울∼인천 거리는 100㎞가 안 되지만 그만큼 북한의 핵시설이 중국과 가까움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 |
태양절(김일성 주석 출생일) 105주년을 맞아 15일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진행된 열병식에서 이번에 처음 공개된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추정)이 북한 인공기와 조선노동당기가 내걸린 트레일러에 실려 행진하고 있다. 연합뉴스 |
문 후보 측은 중국 동북지방에 사드의 엑스밴드레이더보다 강력한 레이더로 한반도 전체를 감시 중이라는 점도 거론했다. 우 대표는 이에 “잘 모르지만, 한국 군사시설 감시용이 아닐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최근 중국에서 사드 배치 시 중국 조치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있고, 현재까지 중국의 군사시설은 한국을 겨냥하는 것은 아니지만 사드 배치 시 중국과 러시아도 상응하는 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 후보 측은 대선에서 승리할 경우 미국에 이어 바로 한·중 정상회담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우 대표는 “한국 신정부가 특사를 파견하면 한·중관계 개선의 계기가 될 것”이라고 답했다.
우 대표는 미·중 정상회담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의 사드 보복을 언급했는지에 관해 질문을 받자 “여러 레벨에서 언급이 있었고 한·중관계 회복을 기원한다고 했다”면서 “그러나 그게 미국의 진심인지는 모르겠다. 미국은 속으로 한·중관계가 악화한 것을 기뻐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문 후보 측이 미세먼지 문제에 대한 대책이 대선 악재로 부각되고 있다며 대기오염 문제도 협력하자고 했다. 우 대표는 이에 “대기오염 문제는 중국도 해결이 어렵다”며 “중국에서는 해결하는 데 50년 이상 필요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한국의 대기오염 문제 해결 경험이 필요해 소통을 해야 한다”면서도 “이번 방한의 소관 문제가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김예진 기자 yeji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