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관위에 따르면, 올해 대선 보조금은 △더불어민주당 123억5737만원 △자유한국당 119억8433만원 △국민의당 86억6856만원 △바른정당 63억4309만원 △정의당 27억5653만원 △새누리당 3258만원으로 확정, 지급됐다. 보조금 총액은 20대 총선 전체 유권자수에 계상단가(올해 기준 1001원)를 곱한 금액이다.이 중 50%를 먼저 원내교섭단체에 균등 배분하고, 5석 이상 20석 미만의 의석을 가진 정당에는 총액의 5%를 나눠준다. 남은 액수는 의석수와 20대 총선 득표율에 따라 지급된다.
민주당은 이번 대선에 투입할 선거자금 규모를 470억원 안팎으로 책정했다. 문재인 후보 측은 이날 선거자금 마련을 위해 ‘국민주 문재인’이라는 이름으로 펀드를 출시했다. 당비와 국고보조금, 은행대출, 후원금 등으로 최대한 선거자금을 모으되, 부족한 부분은 펀드로 충당한다는 계획이다. 펀드 이자율은 연 3.6% 수준이고, 1차 모금액 목표는 100억원이다. 문 후보는 2012년 대선에서도 ‘담쟁이 펀드’로 300억원을 모금한 바 있다.

국민의당은 창당한 지 1년 남짓밖에 되지 않아 축적된 당비는 많지 않다. 그러나 최근 안철수 후보의 지지율이 급등하며 선거자금 융통에는 별다른 어려움이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총 소요비용은 민주당, 자유한국당과 비슷한 규모가 될 것으로 보이지만, 우선 국고보조금과 후원금에 은행대출 100억원을 합쳐 200억원 정도를 마련했다. 대선 이후 국고 보전을 받은 뒤 잔액을 상환하는 방식으로 계약을 체결해 실제로는 선거자금의 절반만 동원하면 된다는 게 당 관계자의 설명이다.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 측은 국고보조금 63억원에 최대 25억원까지 모금할 수 있는 후원금을 더해 90억원 규모로 대선 살림살이를 꾸리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유 후보는 측근들에게 “부족한 부분은 사재를 털어 메우겠다”고 전하며 완주를 자신하고 있다.
정의당 심상정 후보 측은 특별당비와 국고보조금, 후원금으로 선거비용을 충당한다는 방침이다. 비용절감을 위해 선거법상 16면까지 찍을 수 있는 공보물을 8면으로 축소 제작했고, TV·신문 광고를 대폭 줄이는 대신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최대한 활용하기로 했다.
박세준 기자 3ju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