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전 장관은 이날 페이스북에 “당시 새정치연합의 공동분과위원장이었던 저의 개인적 생각은 정강·정책에 대해 이념적인 지향성보다 실용적인 접근을 해서 중도층을 끌어안는 외연 확대 전략이 중요하다는 것”이라며 “정강·정책의 서론 부분에 대해 논의할 때 이념 논쟁의 소지가 되는 것들은 언급하지 않는 것이 어떤가 하는 의견을 말해봤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물론 이런 의견을 당시 안철수 공동준비위원장과 상의한 적은 없다”며 “더구나 그런 문제에 대해 구체적으로 이렇게 하라, 저렇게 하라는 지시를 받은 적도 없었다”고 말했다. 이어 “당시는 모든 것을 열어놓고 이야기할 수 있었던 논의 과정”이라며 “언론에서 큰 뉴스거리가 되고 새정치민주연합이 어려운 상황에 처하게 됐을 때 안철수 공동준비위원장께 전화를 했었다. 그간의 경위를 이야기하고 사과를 했다”고 전했다. 윤 전 장관은 “그분(안 후보)의 얘기는 간단했다. ‘알았다. 걱정하지 마시라. 잘 정리해 수습하기로 하자’는 정도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분이나 저나 5·18, 6·15, 10·4의 역사적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평가는 확실하다고 생각한다”며 “단지, 그 상황에서 저의 실수를 눈감아 주신 것”이라고 말했다.
윤 전 장관은 “대선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지만, 토론이나 논쟁이 정책 중심의 생산적인 논의를 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간절하다”며 “앞으로 그 방향으로 대선 후보님들, 그리고 각 대선 팀들이 방향 전환을 해주신다면 저는 물론이거니와 정말 수많은 유권자가 좋아하실 것 같다. 그렇게 해주시길 간청한다”고 덧붙였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 선대위 전략본부 부본부장인 민주당 금태섭 의원은 전날 페이스북에서 5·18, 6·15 강령 삭제 논란에 대해 “윤 전 장관의 발언을 실무선에서 논의하는 과정에서 나온 발언이라고 할 수는 없다. 합당 과정에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사람은 안 후보밖에 없었다”고 주장하며 해명을 요구했다. 금 의원은 당시 안 후보 신당 측 대변인이었다. 윤 전 장관의 이날 페이스북 글은 이같은 금 의원의 문제 제기를 반박하며 안 후보의 주장을 뒷받침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윤 전 장관은 이후 안 후보 개인 싱크탱크인 정책네트워크 내일 소장으로 활동하다 2014년 10월 사퇴했다.
홍주형 기자 jhh@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