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일 밤 대선주자 스탠딩 토론에서 '주적'이라는 단어가 여러차례 등장, 관심을 끌었다.
유 후보가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에게 "북한이 우리 주적인가"라고 물으면서 주적 논쟁이 촉발됐다.
문 후보가 "국방부가 할 말이다. 그런 규정은 대통령으로 할 일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에 유 후보는 "아직 대통령이 아니시다"라며 실수를 놓치지 않았다.
그러자 "대통령이 될 사람"이라고 재빨리 정정한 문 후보는 "유승민 후보도 마찬가지로 남북문제를 풀어야 할 입장이다. 필요할 땐 정상회담도 필요한 것이고 국방부가 할 일이 있고 대통령이 할 일이 있다"고 받아쳤다.
유승민 후보는 지지않고 "대한민국 법에 '주적이 북한'이라고 나와있는데 주적을 주적이라고 말을 못하는 게 말이 되나"고 재반박,
토론을 지켜본 소설가 공지영 씨는 자신의 트위터에 "심상정은 주적을 문재인으로 삼은 듯. 사실 심이든 문이든 국민이 원하는 것은 구시대 응징과 새시대 시작이라고!"라는 글을 올려 주적 논쟁에 가세했다.
이날 아침 tbs교통방송 '김어준의 뉴스공장' 진행자 김어준 씨는 유 후보의 성공적인 공세였고 문 후보 역시 적절히 방어했다고 평가했다.
김어준 씨는 "이 부분은 안보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라며 "자신의 지지자들에게 어필하는 공격과 방어였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래도 북한은 주적이지' 믿는 보수층이 있고 '대통령과 국방부는 할 일이 다르지' 라는 해명도 문재인 후보 지지자에게는 이해가 가는 답이었다"고 말했다.
박태훈 기자 buckba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