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여론조사마다 벌어지는 격차…흔들리는 양강 구도

관련이슈 2017 제19대 대선

입력 : 2017-04-25 18:58:09 수정 : 2017-04-25 21:28:41

인쇄 메일 url 공유 - +

安, 다자구도서 文에 10%P 뒤처져 / 해묵은 주적 갈등·셀프 네거티브 등 TV토론 부진에 중도·보수층 이탈 / 文측 “1강 1중 3약 구도 더 강화될 것” / 安측 “여전히 스코어는 5 대 5” 주장 / 전략 전면 수정… ‘미래 대 과거’ 집중 / ‘통합’ 강조 보수층에 안정감 메시지
.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의 양강 구도가 흔들리고 있다. 최근 여론조사에서 지지율 격차가 벌어지며 안 후보는 다자구도에서 문 후보에 비해 10%p가량 뒤처지는 추세다. ‘양강’보다는 ‘1강 1중’에 더 가까워졌다. 국민의당은 ‘조정기는 불가피했다’고 설명하지만, 중반전을 넘어서는 이번 주말까지 반등하지 못하면 막판 역전은 쉽지 않다는 전망이 많다.

천안에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오른쪽)가 24일 오후 천안 신부문화의 거리에서 열린 집중유세에서 시민들과 손을 잡으며 인사하고 있다.
천안=이제원 기자
◆고공행진 지지율 상승세 왜 꺾였나

직접적 계기는 TV토론에서의 부진이다. 박지원 상임선대위원장은 25일 기자간담회에서 “제가 말씀드리기에는 가슴 아픈 일이지만 TV토론 결과를 보고 그런(지지율이 떨어지는) 영향이 있다”고 말했다. 문 후보 측 전병헌 전략본부장도 이날 “시간이 지날수록 1강 1중 3약 구도는 더 강화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TV토론에서 안 후보가 ‘셀프 네거티브’ 논란 등으로 본인의 강점인 4차 산업혁명 등 정책 분야를 부각하지 못한 게 중도·보수층의 등을 돌리게 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들은 탄핵에 찬성했지만, 문 후보와 정책·이념적 지향이 맞지 않아 대안으로 안 후보를 지지할 이유를 찾고 있었다. 이들 중 상당수가 문 후보와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로 돌아서거나 지지를 유보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국민선대위 한 관계자는 “우리의 주된 공략 대상인 중도·보수층은 80%가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을 찬성했던 이들로, 기존 보수와 달리 개혁과 정권교체를 강력하게 바란다”며 “안 후보가 그 비전을 보여주길 원했는데 오히려 토론은 거꾸로 간 것”이라고 우려했다.

‘주적 갈등’ 등 해묵은 소재의 부상으로 대선판이 진보·보수 보혁 경쟁 구도로 짜이기 시작한 것도 악재다. 장병완 총괄선대본부장은 이날 간담회에서 “패권세력과 통합세력, 과거 대 미래 구도로 돼 있었던 대선 프레임이 TV토론을 거치면서 안보 논쟁으로 갔고, 송민순 전 외교부 장관의 회고록 논란까지 겹치며 프레임이 색깔론으로 바뀌었다”고 안타까워했다.

광주에서…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왼쪽)가 24일 오후 광주 북구 전남대 후문에서 열린 유세에서 유권자들 손을 잡으며 인사하고 있다.
광주=이재문 기자
◆다시 安에게 기회 올까… 대책은


안 후보에게 한 가지 희망적인 대목은 최근 안 후보를 떠나간 지지층이 아직 지지 후보를 확실히 정하지 못했고, 그만큼 지지율 복원 가능성이 남아 있다는 점이다. 안 후보 측 한 관계자는 “떨어진 지지율이 돌아오지 못할 성질의 것이라고는 보지 않는다”며 “여전히 스코어는 5대 5”라고 주장했다. 문 후보의 지지율 상승 역시 한계를 보이고 있어 안 후보 지지층은 문 후보에게 넘어간 것이 아니라 부유하는 중이라는 설명이다.

향후 전략과 관련해 안 후보 선대위에선 메시지를 ‘과거 대 미래’로 집중시키자는 기조를 정했다. 토론회 전략도 전면 수정했다. 선대위 관계자는 “‘미래 대 과거’ 구도만이 살길”이라고 말했다. 남은 선거 기간 안 후보의 메시지와 일정은 대부분 ‘미래’, ‘양극단 배제’ 등에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

보수 정당과의 연대에는 선을 그었지만, 보수층에게 안정감을 주는 고도의 메시지 관리도 중요하다는 판단이다. ‘상왕론’을 불식하기 위해 안 후보 당선시 공직 선출을 하지 않겠다고 선언한 박 위원장은 이날 “안 후보가 대통령이 돼도 당내에서 총리가 나오지 않을 것”이라며 “이는 굉장히 중대한 의미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선거 후 협치와 연대 가능성을 열어둠으로써 고민하는 보수층을 끌어안으려는 카드로 해석된다. 손학규 상임선대위원장 역시 여전히 ‘보수층에게 안정감을 주는 통합정부’를 강조한다.

홍주형 기자 jhh@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신민아 '순백의 여신'
  • 신민아 '순백의 여신'
  • 차주영 '시크한 매력'
  • 수지 '청순 대명사'
  • 에스파 윈터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