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전 대표와 안 후보는 27일 저녁 서울 그랜드호텔에서 1시간 가량 만났다. 안 후보 관계자는 “안 후보가 김 전 대표와의 독대에서 도움을 요청했다”고 전했다. 김 전 대표의 측근인 최명길 의원도 “김 전 대표는 친문(친 문재인) 패권은 안 된다는 입장이기에 안 후보 지지를 마다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안 후보는 28일로 예정된 ‘국민대통합과 협치에 관한 구상 발표’에서 정치·경제·사법 등 각 분야의 개혁 비전을 제시하면서 개헌론자인 김 전 대표와 호흡을 맞출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할 것으로 보인다.
김 전 대표가 이 자리에 참석해 안 후보에 대한 지지의사를 밝히거나 안 후보의 입장 발표를 본 뒤 합류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안 후보의 구상 가운데 하나로 알려진 통합정부추진위원회 위원장을 맡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다만 김 전 대표가 더 이상 당적을 갖지 않겠다고 밝혀온 만큼 국민의당에 입당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김 전 대표가 강조해온 ‘개헌 후 임기 단축’을 안 후보에게 제안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으나 안 후보 측은 이와 관련한 논의를 하지 않았다고 부인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안 후보와 김 전 대표의 회동에 겉으로는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으면서도 향후 대선구도에 미칠 영향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양측의 만남을 계기로 ‘임기단축 개헌’이 대선의 새로운 쟁점으로 떠오를 수도 있다.
민주당 관계자는 “김 전 대표가 평소 주장해온 ‘임기단축 3년’을 전제로 한 개헌을 안 후보가 수용했을 가능성이 있다”며 “이를 앞세워 문 후보를 압박하려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현재로서는 안 후보와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의 3자 단일화가 어려워진 상황이지만, 안 후보가 임기단축 개헌을 들고 나오면 이를 매개로 다시 한번 단일화의 동력이 생길 수 있다”고 경계했다.
이현미 기자 engin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