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대선일이 징검다리 황금연휴 기간에 놓인 만큼 사전투표가 주요 변수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투표를 할 수 있는 기간이 이틀 늘어난 데다 사전투표는 주소지와 상관 없이 전국 어디에서나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전투표는 젊은층 투표율을 끌어올리는 효과가 있어 진보 쪽 후보에게 유리하다는 게 통설이다. 특히 이번 대선부터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투표 인증샷’을 올리는 게 허용돼 사전투표 열기가 달궈지면 전체 투표율 상승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 |
엇갈린 시선 대선후보들이 3일 서울 종로구 조계사에서 열린 부처님오신날 봉축법요식에 참석해 서로 다른 곳을 바라보고 있다. 왼쪽부터 국민의당 안철수, 자유한국당 홍준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 남정탁 기자 |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 역시 이날 전북 익산 유세에서 “이제 사전투표가 실시된다. 꼭 투표해 달라. 투표용지는 총알보다 강하다”며 “여러분의 투표가 대한민국을 미래로 전진시킨다”고 호소했다. 국민의당은 안 후보가 개발한 백신 프로그램 이름을 따 ‘투표(Vote)한 뒤 휴가(Vacation)가면 승리(Victory)한다’는 의미의 ‘V3 캠페인’도 진행 중이다.

그러나 바른정당 의원들의 대거 탈당 및 홍 후보 지지선언, 정의당 심상정 후보 상승세 등 막판 변수가 남아 있어 사전투표의 영향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여론조사 공표 금지기간(3∼9일) 전인 1, 2일 실시된 마지막 여론조사에서는 문 후보가 1강을, 안·홍 후보가 2중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공개된 한국갤럽 조사에서 문 후보는 38%로 안 후보(20%)와 홍 후보(16%)를 앞섰고, CBS·리얼미터 조사에서는 문 후보(42.4%) 독주 속에 안·홍 후보가 18.6% 동률을 이뤘다. 서울신문·YTN·엠브레인 조사에선 문 후보(40.6%)가 1위인 가운데 홍 후보(19.6%)가 안 후보(17.8%)를 오차범위 내에서 앞섰다.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 참조.
유태영 기자 anarchy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