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저 임금도 제대로 챙겨 받지 못하는 문화예술인, 정규직과 비정규직 차별 논쟁에서 밀려난 고등학교 졸업자에 대한 취업차별 이슈, 한뎃잠을 자는 노숙인에 대한 ‘왔다 갔다’ 지원책, 취업지원금을 받고 중소기업에 다녔다가 다시 구직자로 돌아온 취업준비생들은 한 목소리로 대선주자들이 목청을 높이는 공약들에 ‘사각지대’가 너무 넓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정된 프레임에 갇혀,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꼭 필요한 공약들이 골고루 등장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른바 ‘공약 소외계층’이 늘고 있다는 지적이다.
한편 임금격차 해결을 위한 비정규직 정규직 간의 차별 완화 논의가 한창인 이때, 소외감을 표하는 이들도 있다. 같은 업무를 하면서도 대졸자와 전혀 다른 대우를 받는 고등학교 졸업자들에 대한 차별 문제에 대한 논의는 이뤄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김종선 예림디자인고등학교 취업지원부장은 “말은 실력주의라고 하고, 정부에서도 고졸자에 대한 의무 고용 비중 등을 늘리지만, 현장에서 차별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견디지 못하고 퇴사하는 고졸 청년들이 늘고 있는 게 현실”이라고 지적하며 “이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현재 과잉된 대입 경쟁을 누그러뜨리고 실업률 문제를 해소하는 데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최저임금 인상에 대한 논의가 활발한 이때, 최저임금조차 받지 못하는 ‘열정페이자’들이 만연한 문화예술계 종사자들을 좀 봐 달라고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문화예술업계에 종사하다가 현재는 전업 주부로 일하고 있는 홍모(34·여)씨는 문화예술인들이 일을 구하기 위해 자주 찾는 사이트에는 급여에 대해 ‘협의’ 등으로 정해 놓고 임금 후려치기를 하는 곳이 많다며 이를 법적으로 규제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지적을 했다.
●아래는 자세한 내용을 담은 영상들이다.
김라윤 기자 ry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