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는 대선을 이틀 앞둔 7일 야권 심장부인 광주를 찾아 막판 굳히기에 들어갔다. 야권 지지층을 최대한 결집해 변수를 줄이고 압도적 표차로 정권교체를 해내겠다는 계산이다.
![]() |
양손 흔들고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운데)가 7일 오후 광주광역시 송정역 앞 유세에서 지지자들 환호에 손을 들어 답하고 있다. 광주=남정탁 기자 |
문 후보는 광주 유세에서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와 정의당 심상정 후보를 직접 겨냥하지 않으면서도 “어차피 문재인은 될 건데, 될 거니까 좀 나눠줘도 되지 않냐 하시는 분도 있다”며 “안 된다. 그렇지가 않다”고 강조했다. 광주 유세에 앞서 충북 충주에 들러서는 “역대 선거 때마다 우리 충북이 대통령을 결정했다”며 “(득표율) 50%를 넘게 해 달라”고 지지를 호소했다.

문 후보는 어버이날을 하루 앞둔 이날 페이스북에서 “어버이날을 법정 공휴일로 지정하겠다”며 “모든 어른을 우리 모두의 어머니 아버지라 생각하고 ‘효도하는 정부’를 만들겠다”고 공약했다. 당 정책본부는 문 후보 당선 시 ‘일자리 추경’을 통해 올해 하반기 소방관, 사회복지전담공무원, 경찰, 교사 등 1만2000명의 공무원을 추가로 채용하겠다고 밝혔다.
문 후보는 8일 마지막 집중 유세지로 광화문광장을 택했다. ‘이번 대선은 장미대선이 아니라 촛불대선’이라고 강조하고 있는 문 후보가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의 상징적 장소인 광화문광장에서 ‘촛불민심’을 받들겠다는 의지를 피력한다는 계획이다. 광화문 유세 뒤에는 서울 서초구 이주노동자 쉼터를 방문하는 것으로 공식 선거운동을 마친다.
광주·강릉=박영준 기자 yjp@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