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당은 패색이 짙어지면서 당의 진로가 한 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격랑 속으로 빠져들 전망이다. 당장 당내 친박(친박근혜)계와 비박(비박근혜)계의 갈등이 재연될 가능성이 크다.
![]() |
심각 자유한국당 선대위 관계자들이 9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 마련된 개표상황실에서 19대 대선 방송사 출구조사 결과를 지켜보며 어두운 표정을 짓고 있다. 왼쪽부터 정우택 원내대표, 안상수 의원, 원유철 의원. 남정탁 기자 |
복당 대상자는 바른정당 탈당파 13명, 친박계 무소속인 정갑윤 의원 등 국회의원 14명과 기초단체장 2명, 광역의원 8명, 기초의원 32명 등 모두 56명이었다. 친박 핵심 서청원·최경환·윤상현 의원의 당원권 정지도 완전히 해제됐고, 재판을 받고 있는 김한표·이완영·권석창 의원 등의 당원권 정지 징계도 효력이 정지됐다.
![]() |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선후보가 9일 오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제19대 대통령 선거에 대한 소회를 밝히고 있다. 이재문기자 |
홍 후보가 대선에서 패배하면서 탈당파 복당에 불만을 가진 친박계와 친박 중진들의 징계 해제에 부정적 입장을 보인 비박계가 마찰을 빚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홍 후보가 향후 국정농단 사태의 책임을 묻고 당의 쇄신을 단행할 경우 친박과의 갈등도 일어날 것으로 보인다.
한국당은 이번 대선 기간 내내 고난의 길을 걸었다. 지난해 10월 ‘박근혜-최순실 국정농단 사태’가 터지면서 당의 위기가 시작됐다. 비박계 의원들이 탈당해 ‘바른정당’을 만들어 분당 사태를 맞았고, 청문회에서 ‘1호 당원’이었던 박근혜 전 대통령이 파면됐다. 당의 지지율은 한 자릿수로 떨어졌고 인명진 비상대책위원장을 필두로 한 비대위 체제가 가동됐다. 당명도 새누리당에서 자유한국당으로 바꿨지만 대선을 치를 만한 후보가 없어 전전긍긍했다.
이재호 기자 futurnalist@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