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당선자는 지난 1월5일 권력기관 대개혁 기자간담회를 열고 “청와대 특권을 버리고 국민과 소통하겠다”며 “국민대통령 시대에 대통령이 있을 곳은 구중궁궐이 아니라 광화문 청사다. 대통령 집무 청사를 광화문으로 옮기겠다”고 밝혔다.
![]() |
문재인 대통령 당선인이 9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세종로공원에서 열린 시민들과 함께하는 개표방송에서 지지자들의 손을 잡고 있다. 연합 |
대통령이 광화문 청사에서 집무를 보게 되면 백악관의 웨스트윙처럼 대통령과 참모들이 같은 업무공간에서 일을 하며 수시로 논의하고 공무원들과의 소통도 자연스러워질 것이란 구상이다. 국가 현안에 대한 신속한 대응도 가능하다는 판단이다. 문 당선자는 “퇴근길에 남대문 시장에 들러 시민들과 소주 한잔 나누며 소통할 수 있는 대통령, 친구 같고 이웃 같은 대통령이 되겠다”고도 강조했다. 그야말로 광화문 대통령 시대가 열리게 되는 셈이다.
청와대와 북악산을 서울을 상징하는 시민휴식공간으로 만들겠다는 구상을 밝힌 문 당선자는 지난달 서울역사문화벨트조성공약 기획위원회와 광화문대통령공약 기획위원회를 동시에 출범하며 광화문 대통령 시대 구상을 구체화했다.

문 당선자는 2017년 광화문 청사 이전 계획을 수립하고 2018년 예산을 반영해 2019년 대통령 집무실 이전을 완료하겠다는 구상이다.
그러나 광화문 청사로 이전할 경우 대통령 경호 문제와 교통 혼잡 가능성도 제기된다.
문 당선자는 경호 문제에 대해 “지금 대통령경호실을 경찰청 산하 대통령경호국으로 이관해도 충분하다”고 강조했다. 교통 혼잡 가능성에 대해선 “대통령이 출퇴근할 때 신호만 제대로 조작하면 교통의 흐름을 전혀 가로막지 않고 시민들과 함께할 수 있다”며 “반대 차선에서도 다른 사람들의 주행을 허용하며 이동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영준 기자 yjp@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