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대선 당시 4년 중임 대통령제 개헌을 공약한 바 있다. 의원내각제 요소를 부분적으로 반영한 이원집정부제가 16.2%, 의원내각제가 14.5%로 뒤를 이었다.

개헌 논의의 최대 쟁점인 정부 형태를 포함한 권력구조 개편에 62.1%가 찬성 의견을 낸 것은 ‘1987년 체제’ 를 이제는 바꿔야 한다는 데 폭넓은 공감대가 형성된 것으로 풀이된다.
세계일보가 지난해 신년 여론조사에서 대통령 임기 단축을 전제로 하는 대선 전 개헌 추진 여부를 물었을 당시 47.1%가 찬성하고, 44.9%가 반대하며 팽팽하게 맞섰던 것과 비교하면 권력구조 개편에 대한 찬성 여론이 높아지고 반대 여론은 낮아진 셈이다. 배종찬 리서치앤리서치 본부장은 31일 세계일보와의 통화에서 “일반적으로 여론조사에서 60%를 넘는다는 것은 ‘압도적’이라고 평가한다”며 “이번 여론조사에서 5년 단임제는 끝내야 한다는 인식이 분명하게 나타난 것”이라고 평가했다. 배 본부장은 “대통령에 당선되면 마치 최종 목표가 달성된 것처럼 이해집단화되고 제왕적 대통령이 되는 5년 단임제를 끝내야 한다는 의미”라며 “대통령이 선거로 평가받지 않는 대한민국의 권력구조는 잘못됐다는 인식이 4년 중임제에 대한 지지로 나타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51%가 소선거구제 지지… 연동형 비례대표제도 50% 찬성
선거제도 개편과 관련해선 단일 선거구에서 1명만을 선출하는 현행 소선거구제를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51.7%로 조사됐다. 단일 선거구에서 2∼5명을 선출하는 중대선거구제를 지지한다는 의견은 37.4%로 나타났다. 한국당 지지자 65.3%가 현행 소선거구제 유지 의견을 냈고, 민주당 지지자 50.0%는 현행 소선거구제 유지를 지지했다. 연령별로는 30대에서 유일하게 중대선거구제를 지지한다는 응답이 50.2%로 소선거구제를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42.8%)보다 높게 나타났다.
각 정당이 득표율대로 의석을 배분하는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은 50.3%가 찬성 의견을 냈다. 반대 의견은 35.4%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40대가 62.2%로 찬성률이 가장 높았고, 반대한다는 의견은 60대에서 41.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민주당 지지자 63.8%가 연동형 비례대표제에 찬성한다고 응답했다.
박영준 기자 yjp@segye.com
선거제도 개편과 관련해선 단일 선거구에서 1명만을 선출하는 현행 소선거구제를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51.7%로 조사됐다. 단일 선거구에서 2∼5명을 선출하는 중대선거구제를 지지한다는 의견은 37.4%로 나타났다. 한국당 지지자 65.3%가 현행 소선거구제 유지 의견을 냈고, 민주당 지지자 50.0%는 현행 소선거구제 유지를 지지했다. 연령별로는 30대에서 유일하게 중대선거구제를 지지한다는 응답이 50.2%로 소선거구제를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42.8%)보다 높게 나타났다.

각 정당이 득표율대로 의석을 배분하는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은 50.3%가 찬성 의견을 냈다. 반대 의견은 35.4%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40대가 62.2%로 찬성률이 가장 높았고, 반대한다는 의견은 60대에서 41.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민주당 지지자 63.8%가 연동형 비례대표제에 찬성한다고 응답했다.
박영준 기자 yjp@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