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를 통해 소설가로 등단했지만 몇 년 동안 원고 청탁은 거의 없었다. 아무도 신인 소설가 백가흠을 주목하지 않았다.

그때 2003년 어느 날. 한 스님이 강원도 백담사로 자신을 불러선 좋은 절방을 내주고 먹여줬다. 소설가는 6개월간 그곳에서 새 희망을 일구기 시작했다. 스님은 바로 조계종 신흥사의 조실 무산 스님이었다.
소설 ‘귀뚜라미가 운다’로 알려진 소설가 백가흠씨는 31일 세계일보와의 통화와 자신의 페이스북 등을 통해 난 26일 입적한 무산(86) 스님에게 받은, 숨겨진 스님의 선행을 소개했다.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자신의 것을 아낌없이 나눴던 무산 스님의 선행의 숨겨진 선행 하나가 또다시 알려진 셈이다.
![]() |
30일 오후 강원 고성군 거진읍 건봉사에서 무산 스님의 다비식(시신을 불에 태워 유골을 거두는 불교의 장례의식)이 봉행되고 있다. 무산 스님은 지난 26일 신흥사에서 세수 87세, 승납 60세로 입적했다. 사진=연합뉴스 |
그는 “데뷔하고 몇 년 청탁도 없고 아무에게 주목도 없어 소설을 그만 써야하나 그냥 쾍 죽어야 하나 허구헌 날 술병이나 허리춤에 차고 방구석에 앉아있을 때 (무산) 스님, 백담사로 날 불러 반년이나 좋은 절방 내어주고 먹여주었다”고 떠올렸다.

백 작가는 “이미 살아서 부처였으니 다음 생엔 스님 원하던대로 해질녘 선선한 바람이나 되어 술향기 그득한 곳 머물다 흘러흘러 이 마을 저 마을 기분좋게 떠돌면 좋겠습니다. 그러다 마주칠 날 기다리겠다”고 스님을 추모했다.
한편 30일 강원도 속초 신흥사에서는 무산 스님의 영결식이 열렸다. 법구는 인근 금강산 건봉사로 이동해 불교장례인 다비식이 치러졌다.
안승진 기자 prodo@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