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아동학대 가해자 70%는 '부모'…가장 치명적인 결과는 '사망'

입력 : 2019-05-04 15:32:54 수정 : 2019-05-04 15:32:22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아동학대 사례 매해 늘어 / 2001년부터 2017년까지 총 216명 사망 / 2017년 피해 아동 1만8254명
게티이미지코리아

아동학대 학대사례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대 행위자가 부모인 경우가 매해 7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아동학대 사례를 집계한 이후 총 216명이 학대로 숨졌다.

 

4일 보건복지부 산하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의 ‘2017년 전국아동학대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연도별 아동학대 사례 건수는 아동학대 예방사업이 시작된 2001년부터 최근까지 단 한 번의 감소 없이 매년 증가했다.

 

아동학대 사례 건수는 2001년 2105건에서 2014년 처음으로 1만건을 넘었다. 2017년에는 2만2367건을 기록하며 약 10배로 늘어났다. 

 

아동보호전문기관에서 보호하는 피해아동수는 2014년 1만명을 상회했고, 2017년에는 1만8254명이었다. 

 

아동학대로 인한 가장 치명적인 결과는 사망이다. 아동학대 현황을 집계한 2001년부터 2017년까지 총 216명이 아동학대로 숨진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런 사망 아동 현황은 아동보호전문기관에 들어온 사례만을 집계한 것으로 실제 아동학대로 인한 사망 아동은 더 많을 것으로 추측된다.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제공

학대 행위자와 피해 아동과의 관계를 연도별로 보면, 2001년부터 2017년까지 학대 행위자가 부모(친부모, 계부모, 양부모 포함)인 경우가 매년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대리양육자(유치원·초중고교 교직원, 보육 교직원, 시설 종사자 등)에 의한 학대는 2001년 3.0%에 불과했지만, 2017년에는 14.9%로 증가했다.

 

2017년의 경우 전체 아동학대 사례(2만2367건)에서 부모가 학대 행위자인 것이 1만7177건으로 76.8%를 차지했다. 이어 초중고교 교직원 1345건(6.0%), 친인척 167건(4.8%), 어린이집 교직원 840건(3.8%), 아동복지시설 등 종사자 285건(1.3%), 유치원 교직원 281건(1.3%) 등이었다.

 

나진희 기자 naji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이주명 '완벽한 미모'
  • 이주명 '완벽한 미모'
  • 수지 '우아한 매력'
  • 송혜교 '반가운 손인사'
  • 김희애 '동안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