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검찰총장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는 검·경 수사권 조정 및 검찰개혁에 대한 윤 후보자의 소신과 재산 및 장모 문제 등이 주요 쟁점이 될 전망이다.
윤 후보자는 서울 출신으로 1991년 33회 사법시험에 합격해 검사로 임관했다. 1994년 동기들보다 다소 늦은 나이인 34세에 공직을 시작한 윤 후보자는 대구지검 근무를 시작으로 대검 검찰연구관, 대검 중수1·2과장,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장 등 요직을 두루 거쳤다.
윤 후보자는 현직 검사 가운데 특수수사 경험이 풍부한 대표적 ‘칼잡이’다. 박근혜정부가 들어선 2013년 국가정보원 댓글사건 특별수사팀장으로 임명됐고 그해 10월 서울중앙지검장에게 보고 없이 국정원 직원들의 체포 및 압수수색 영장을 집행해 징계를 받았다. 당시 윤 후보자가 국감장에서 외압을 폭로한 장면은 지금도 회자되는 유명한 일화다. 윤 후보자는 당시 국정원 댓글사건을 계기로 주요 보직에서 밀려나는 인사 불이익을 받았다.

한직을 전전하던 윤 후보자는 2016년 박영수 특검의 수사팀장으로 부활하며 현직 대통령을 수사했다. 야당은 청문회에서 윤 후보자의 개인적 배경을 겨냥한 공세에 집중할 것으로 예상된다. 윤 후보자가 신고한 재산내역을 보면 총 65억원으로 검찰 간부 가운데 가장 많은 액수다. 윤 후보자는 2012년 52세 나이에 결혼했고, 배우자는 12억원의 주상복합 건물과 예금 49억7232만원 등을 가진 자산가다. 한때 국정감사장에서 논란이 됐던 윤 후보자의 장모 문제도 다시 불거질 수 있다.
자유한국당 장제원 의원은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윤 후보자 장모의 사기사건에 윤 후보자가 개입했다는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 당시 윤 후보자는 “국감장에서 이런 말씀을 하시는 게 적절한지 모르겠다”며 “저는 정말 모르는 일이고 중앙지검에는 (제) 친인척 관련 사건이 없다. 왜 도덕성의 문제가 되냐”며 거세게 반발했었다. 그러면서 “몇 십억 피해를 입은 사람이 있다면 당연히 민사소송을 걸거나 형사 고소를 할 텐데 저는 그 사람이 어디에 (고소) 했는지도 모른다”며 “해당 검찰청에 왜 수사가 안 되는지 물어야지 너무하신 것 아니냐”고 항변했다.
정필재 기자 rush@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