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는 22일 한국 정부의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 종료 결정에 대해 공식 입장을 내지 않은 채 사태 추이를 주시했다. 한·일 외교문제와 관련해 제3국인 중국이 입장을 내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중국 팽창을 견제하는 미국의 동북아 전략의 핵심 동맹국인 한·일 간 갈등을 계기로 동북아 지역 영향력 확대를 모색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관영 매체들은 이날 청와대의 GSOMIA 종료 결정 사실을 신속하게 전달했다. 관영 환구시보는 한국 국익에 부합하지 않기 때문에 일본과 군사정보를 교환하지 않기로 했다는 청와대 발표를 인용해 신속하게 보도했다. 신화통신도 한국이 일본과 지소미아를 종료하기로 했다고 속보로 전했다.
중국 내부적으로는 한·일 안보협력 균열은 결국 미국의 영향력 쇠퇴란 의미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중국은 한·일 갈등을 활용해 중국의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시도를 할 것으로 관측된다. 이날 관영 글로벌 타임스가 “중국이 한국과 일본의 동맹국인 미국보다 한·일간 긴장해결에 더 많은 역할을 했다”고 전한 것도 이런 중국 정부의 기류를 반영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신문은 특히 존 볼턴 백악관 안보보좌관이 지난달 한국과 일본을 방문했지만, 한·일 갈등을 해결하는 데 아무 노력도 하지 않았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실제로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는 이날 오전 베이징 인민대회당서 한·중·일 외교장관 회의차 방중한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고노 다로(河野太郞) 일본 외무상을 함께 회견하면서, “우리는 3국 협력과 동아시아 전체 협력에서 중요한 촉진제 역할을 해야 한다”며 “지역과 세계 평화 수호 측면에서 응당할 수 있는 역할을 발휘해야 한다”고 3국 협력과 중국의 역할을 강조했다.
앞서 왕이(王毅)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도 지난 21일 한·중·일 외교장관 회의에서 “3국 공동의 이익이 협력의 원천”이라며 “3국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다. 3국 간 갈등은 건설적 태도로 풀고, 대화와 협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3국 협력을 강조한 바 있다.
베이징=이우승 특파원 wsle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