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대중교통 초미세먼지 측정 의무화

입력 : 2019-10-24 19:28:41 수정 : 2019-10-24 22:15:52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모든 지하철역사 측정기기 설치 / 차량 측정주기는 1년 1회로 강화 / 공기질 다중이용시설 수준 높여

앞으로 지하철과 기차, 시외버스 등 대중교통 차량의 실내공기질 측정이 의무화된다.

환경부는 ‘실내공기질 관리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정안을 마련해 25일부터 40일간 입법 예고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개정안은 대중교통차량 측정 의무화, 지하역사 측정기기 부착 등의 내용으로 실내공기질 관리법이 올해 4월 개정됨에 따라 마련됐다.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 서울 지하철 2호선 강남역에 시범 설치된 고성능 공기청정기.

개정안은 대중교통차량의 실내 공기질 권고기준 적용 대상 물질을 기존 미세먼지(PM10)에서 초미세먼지(PM2.5)로 바꿨다. 권고기준도 현행 기준이 너무 느슨하다는 지적을 반영해 일반 다중이용시설과 같은 수준인 50㎍/㎥로 강화했다.

권고 사항이었던 대중교통차량 공기질 측정도 의무 사항으로 바뀌었다. 측정 주기도 ‘2년 1회’에서 ‘1년 1회’로 강화했다.

다만 공간의 제약이나 짧은 운행 시간, 진동 발생 등 측정 여건의 특수성을 고려해 성능 인증을 받은 간이측정기 활용을 허용하기로 했다. 일부 운송사업자의 경우 보유 차량 수가 많기 때문에 전체 차량의 20% 이상의 표본을 선정해 측정 의무를 이행하도록 했다. 지방자치단체는 대중교통차량의 실내 공기 오염도 검사 결과를 정기적으로 환경부 장관에 보고해야 한다.

또 건강 취약계층이 이용하는 어린이집, 실내 어린이놀이시설, 노인요양시설, 산후조리원, 의료기관의 실내공기질 기준을 일반 다중이용시설보다 더욱 엄격하게 적용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모든 지하역사에 설치해야 하는 실내공기질 측정기기는 초미세먼지 측정기기로 하고, 설치 지점은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 상시 관측이 필요한 승강장으로 규정했다.

 

윤지로 기자 kornyap@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하이키 휘서 '미소 천사'
  • 하이키 휘서 '미소 천사'
  • 에버글로우 아샤 '깜찍한 미소'
  • 뉴진스 민지 '볼하트 여신'
  • 하이키 휘서 '시크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