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반려인 인식 개선·입양자 지원 병행을” [뉴스 인사이드 - 지자체 '유기동물 줄이기 사업' 봇물]

입력 : 2020-01-18 15:00:00 수정 : 2020-01-18 14:58:49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이태형 동물복지표준협 상임이사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들(반려인)에게 교육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유기동물을 입양한 보호자에게 지속적인 지원을 해주는 정책이 필요합니다.”

이태형(사진) (사)한국동물복지표준협회 상임이사가 유기동물을 줄이기 위해 중요한 방안으로 제시한 의견이다.

이 상임이사는 최근 여러 지자체에서 시행하고 있는 유기동물 입양비 지원과 예방백신 지원, 중성화 수술비 지원 등이 단기적으로는 유기동물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고 했다.

그는 “보완해야 할 점도 있지만, 중성화수술과 예방접종은 반려동물을 키우는 데 중요한 부분”이라며 “비용 문제로 입양을 꺼리는 보호자들이 많기 때문에 유기동물 입양의 허들을 낮춰 준다는 측면에서 실효성이 있는 정책”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장기적이고 근본적인 대책 마련도 주문했다. 이 상임이사는 “장기적인 대책은 두 가지 관점에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첫째는 유기동물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것, 둘째는 유기동물 입양을 장려하는 것”이라고 했다.

먼저 반려인의 ‘인식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반려동물이 아프거나 병원비가 많이 들어서, 마구 짖거나 털이 많이 빠지는 것 같은 문제행동이나 특성 탓에 기르기 힘들다며 유기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 상임이사는 “사전에 조금만 공부를 했더라면 반려동물 입양에 대해 고민을 했을 것이고, (입양 후에는) 예방접종이나 반려동물 건강검진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주기적으로 동물병원을 찾는다”며 “그러면 나중에 큰 병원비를 감당해야 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명절과 휴가철 등에 반려동물 유기가 30%가량 증가하는 것을 들며 ‘유기하지 않을 수 있는’ 사회적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반려동물을 믿고 맡길 수 있는 적절한 시설을 마련하고 늘려야 한다는 것이다.

이 상임이사는 유기동물 입양을 꺼리는 큰 이유가 질병에 따른 비용문제인 만큼 유기동물을 입양한 가정에 동물 의료비나 예방접종비를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등 유기동물 입양 시 받을 수 있는 혜택을 늘려가는 정책도 필요하다고 했다.

 

울산=이보람 기자 boram@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수지 '우아한 매력'
  • 수지 '우아한 매력'
  • 송혜교 '반가운 손인사'
  • 김희애 '동안 미모'
  • 하이키 휘서 '미소 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