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차세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구현 기술 개발

입력 : 2020-03-31 03:00:00 수정 : 2020-03-30 15:16:20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카이스트 신병하 교수팀

국내 연구진이 페로브스카이트를 이용해 서로 다른 두 종류 이상의 태양전지를 겹쳐 만든 ‘탠덤 태양전지’의 효율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데 성공했다.

 

카이스트(KAIST) 신소재공학과 신병하 교수 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 물질로 26.7%의 효율을 내는 차세대 페로브스카이트-실리콘 탠덤 태양전지를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기존의 단일 태양전지는 이론적으로 30%의 한계 효율을 넘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2개 이상의 태양전지를 쌓은 탠덤 태양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차세대 태양전지 소재로 주목받고 있는 페로브스카이트는 부도체·반도체·도체의 성질은 물론 초전도 현상까지 갖는 산화물이다.

 

연구팀은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 위에 이 페로브스카이트를 쌓아 올려 26.7%의 광 변환 효율을 달성했다. 밴드갭(반도체 내 전류를 흐르게 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이 작은 실리콘과 밴드갭이 큰 페로브스카이트를 함께 활용하면 짧은 파장은 물론 긴 파장의 빛까지 흡수할 수 있어 효율을 높일 수 있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새로운 음이온을 포함한 첨가제를 도입해 페로브스카이트의 불안정성 문제를 해결하면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을 이용한 태양전지, 발광 다이오드, 광 검출기와 같은 광전자 소자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신 교수는 “이번 연구로 30% 이상의 고효율 탠덤 태양전지 구현을 앞당길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에는 서울대 김진영 교수, 세종대 김동회 교수, 미국 국립재생에너지연구소 카이 쥬(Kai Zhu) 박사, 노스웨스턴대학 정희준 박사가 참여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Science) 지난 26일 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대전=임정재 기자 jjim61@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하이키 휘서 '미소 천사'
  • 하이키 휘서 '미소 천사'
  • 에버글로우 아샤 '깜찍한 미소'
  • 뉴진스 민지 '볼하트 여신'
  • 하이키 휘서 '시크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