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0/08/27/20200827505832.jpg)
제8호 태풍 ‘바비’의 영향으로 제주도와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시설피해와 정전 등 피해가 잇따르고 일부 주민이 일시 대피한 것으로 집계됐다. 다행히 큰 인명 피해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27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오전 6시까지 접수된 태풍 관련 시설피해는 총 101건(공공시설 60건·사유시설 41건)이다. 피해를 입은 공공시설은 가로수 23건, 가로등·전신주 19건, 중앙분리대 18건이었으며 사유시설은 건물 외벽 등 27건, 간판 14건이었다. 충남 태안의 한 양식장에선 일시 정전으로 가동한 비상 발전기가 과부하로 고장이 나면서 넙치 200만마리가 폐사했다.
제주와 충남 등에서는 1633가구가 정전피해를 겪기도 했다. 이 가운데 제주 887가구, 충남 335가구, 광주 315가구는 복구가 완료됐으나 전남 신안의 96가구는 여전히 전기공급이 끊긴 상태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태풍으로 10세대 29명이 일시 대피했다. 대피한 인원들은 이달 초 장마로 산사태 피해를 겪은 전남 곡성 주민들로, 태풍으로 산사태 위험이 다시 커짐에 따라 인근 숙박시설로 피신했다.
곳곳에서 항공기와 여객선 운항이 통제되고 열차 운행도 일부 막혔다. 항공기 결항은 제주공항 206편, 김포공항 71편, 김해공항 58편 등 11개 공항에서 총 438편이다. 인천국제공항 활주로는 이날 오전 2시부터 오전 7시까지 일시 폐쇄됐다.
![](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0/08/27/20200827505831.jpg)
여객선은 99개 항로, 157척이 통제됐다. 유선(유람선) 142척과 운송 목적의 도선 74척도 발이 묶였다. 철도는 광주송정∼순천 경전선과 호남선 목포∼광주송정 구간, 장항선 용산∼익산 구간 운행이 안전을 위해 전날 저녁부터 중지됐다. 전남 신안 천사대교는 전날 오후 7시부터 이날 오전 2시까지 통행이 제한됐다.
소방당국은 인력 1421명과 장비 397대를 동원해 350여건의 안전조치를 했다고 밝혔다. 이 중 주택 관련이 44건이고, 토사·낙석 등 도로 장애물 제거는 75건, 떨어진 간판 철거 등은 231건이다. 제주와 전남 순천, 경남 함양·함안 등 13곳에서는 470t의 급·배수 지원을 했다.
태풍 바비는 이날 오전 6시 기준 백령도 동남동쪽 약 40㎞ 해상에서 시속 38㎞로 북상 중이다. 중심 기압은 960h㎩, 중심 최대풍속은 초속 39m로 태풍의 세기는 전날 ‘매우 강’에서 ‘강’, 크기는 ‘중형’에서 ‘소형’으로 완화됐다. 기상청은 중부지방이 오전까지 태풍의 영향권에 들겠으며, 전국에 비가 오겠다고 예보했다.
김주영 기자 bueno@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