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022년 신년사에서 금리 인상 방침을 재확인했다.
3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이 총재는 내년 신년사에서 “경제 상황의 개선에 맞추어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를 적절히 조정해 나가야 하겠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 과정에서 완화 정도의 추가 조정 시기는 성장과 물가 흐름을 면밀히 점검하는 가운데 금융 불균형 상황과 주요국 통화정책 변화의 영향을 함께 짚어가며 판단해야 할 것”이라며 “특히 그간 높아진 물가와 기대인플레이션이 상호작용하여 물가 오름세가 예상보다 길어질 가능성은 없는지 잘 살펴보아야 하겠다”고 부연했다.
기존의 기조를 그대로 유지한 발언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으로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기는 했지만, 물가 상승세를 고려했을 때 추가적인 기준금리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미국이 기준금리 인상 시기를 앞당길 가능성이 커진 만큼 이 역시 금리 인상의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점도 상기시켰다.
이 총재는 “미 연준 등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높아진 인플레이션 압력에 대응하여 금리 인상을 이미 시작하였거나 예고하고 있다”면서 “이 같은 각국의 통화정책 정상화 과정에서 국제금융시장의 가격변수와 자본유출입의 변동성이 증폭될 수 있다. 불안 요인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면서 필요한 경우 시장 안정화 조치를 적기에 시행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디지털 금융 확대에 따른 변화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지급결제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것”이라면서 “디지털 경제로의 빠른 진전에 대응하여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도입과 관련한 기술적·제도적 연구를 한층 더 강화해야 하겠다”고 했다. 또한 “지급결제 시스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새로운 지급서비스를 제공하는 빅테크 기업 등을 효과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면서 “지급결제 혁신 과정에서 사회적 취약계층의 현금 접근성이 제약되지 않도록 금융포용(financial inclusion) 노력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한은 내부에서 불거지고 있는 직원 처우 불만을 의식한 듯, 향후 조직 개선 방안에 관해서도 설명했다.
이 총재는 “우리는 외부 전문기관의 컨설팅 결과와 직원들의 광범위한 의견을 바탕으로 조직·인사 각 분야별 혁신방안과 이행 로드맵을 담은 ‘중장기 경영인사 혁신방안’을 마련 중에 있다”는 입장을 내놨다. 이어 “이 방안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어 향후 혁신 추진 과정에서 중심축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하며, 우리의 노력이 결실을 맺기 위해서는 혁신의 주체인 직원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가 필수적이라는 점을 새삼 강조할 필요가 없겠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