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인·증상 분석하고 치료 가이드라인을 만들 것”
정부가 코로나19 후유증에 대한 1만명 대상 대규모 조사를 실시한다. 이를 바탕으로 치료·관리 가이드라인을 만든다는 계획이다.
10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소아·청소년을 포함해 1만명을 목표로 하는 코로나19 후유증 연구를 준비 중이다.
질병청은 “코로나19 장기화와 확진자 증가, 오미크론 변이 출현으로 표준화된 자료 확보 필요성이 커졌다”며 “진행 상황은 추후 안내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질병청은 기저질환이 없는 성인 포함 1000명을 조사를 진행 중인데, 새정부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조사 대상을 1만여명으로 대폭 늘리겠다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1000명 조사와 별도로 1만명 조사를 진행하는 것이다. 올해 하반기에 대규모 조사에 본격 착수하고 중간 분석을 거쳐, 내년 상반기 가이드라인이 나올 전망이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그동안 많은 분이 코로나19 후유증을 경험하고 계시지만 제대로 된 조사는 미흡했다”며 “이에 정부는 대규모 조사를 통해 원인·증상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치료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방역 당국과 세계보건기구(WHO)는 ‘코로나19 발병 3개월 이내에 시작돼 최소 2개월 이상 증상이 있으면서, 다른 진단으로 설명되지 않는 경우’로 코로나19 후유증으로 정의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두통, 인지 저하, 피로감, 호흡곤란, 탈모, 우울·불안, 두근거림, 생리주기 변동, 근육통 등 200여개의 다양한 증상이 보고되고 있다.
후유증 지속 기간은 사람마다 다르다. 다수 확진자는 후유증을 회복하지만, 10∼20%의 환자는 다양한 증상을 중장기적으로 경험한다.
환자의 10~20%는 감염 초기 증상이 회복된 뒤에도 다양한 증상이 중장기적으로 이어진다. 후유증은 코로나19 감염에 따른 초기 증상의 중증도나 입원 여부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무증상이나 경증 환자, 소아·청소년도 코로나19 회복 이후 후유증이 생길 수 있다.
코로나19 후유증으로 증상이 지속되더라도 감염성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후유증에 대한 특이적인 치료법은 없다. 방역 당국은 충분한 휴식과 함께 의료기관을 방문해 증상에 따른 대증치료를 받으라고 안내하고 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