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전쟁이 빚은 술 대만의 금문 고량주 [명욱의 술 인문학]

입력 : 2022-12-03 19:00:00 수정 : 2022-12-02 18:02:40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얼마 전 KBS 역사 관련 방송에서는 흥미로운 내용이 소개되었다. 바로 전쟁이 술을 만들어 냈다는 것. 중국과 대만의 대치 상황에서 태어난 술 ‘금문 고량주’(사진)에 대한 이야기다.

금문(金門)이라는 이름은 대만이 지배하는 섬 진먼다오(金門島)에서 나온 명칭. 흥미로운 것은 진먼다오 위치다. 대만 영토지만 중국 영토와 4㎞밖에 안 떨어져 있다. 서울의 한강 왕복 거리를 두고 중국과 대만이 대치하고 있는 곳이 바로 진먼다오인 것이다. 대만 본섬하고는 200㎞가 떨어져 있는 상황이니 늘 중국 위협에 노출이 된 곳이라고 볼 수 있다.

시작은 1949년. 중국 본토를 홍군에게 빼앗긴 국민당 대만군은 최후의 방어선을 이 진먼다오에 치게 된다. 그러자 중국의 인민해방군 군대는 약 9000명의 병력으로 공격하고 1만명 정도의 병력을 상륙시키기로 결정한다.

하지만 국민당은 철저하게 대비, 인민해방군을 맞이하여 사수해 낼 수 있었다. 그리고 1950년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중국의 초점은 한반도로 이동, 대만과의 전쟁은 뒤로 미뤄졌다.

그렇다 해도 진먼다오는 중국하고 너무나도 가까웠다. 포 한 발만 쏘더라도 언제든지 닿을 수 있는 곳. 그래서 당시 진먼다오의 방위사령관인 후롄 장군은 군인들과 민간인의 공포심을 이기기 위한 방법으로 고량주를 빚으라고 지시했다. 더불어 고량주의 원료인 수수를 재배하라고 독려했다. 땅 역시 황폐해질 대로 황폐해졌고, 바람이 세고 기후가 건조해 벼농사가 어려운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여기에 수수는 물을 대지 않아도 간단하게 재배가 가능하고 쌀처럼 탈곡 등을 할 필요가 없었다. 그래서 척박한 땅에서는 주로 수수 재배가 많았고, 그 수수로 빚은 고량주가 많을 수밖에 없다. 그래서 이 술의 숙성은 화강암으로 이뤄진 지하 갱도에서 이뤄진다. 전쟁 흔적이 그대로 술에 묻어 있는 것이다.

하지만 중국도 진먼다오에 대한 정복을 포기하지 않았다. 그 대표적인 사건이 바로 1958년도에 있던 진먼 포격전이다. 8월 23일 중국 본토에서 포격이 시작되고 한 달 동안 중국측 48만 발, 대만측 12만 발 등 엄청난 포탄이 해당 지역을 초토화했다. 이에 미국과 소련이 전투가 확대되는 것을 우려, 국지전을 중단하도록 압박하고 이후 진먼다오 대치는 소강상태로 진행된다. 금문 고량주의 소비가 많아진 것은 너무나도 당연했다.

명욱 주류문화 칼럼니스트

흥미로운 것은 이때 날아온 포탄 파편 등이 ‘금문도 식칼’로 만들어져 진먼다오만의 특산품이 되었다는 것. 이연복 셰프의 식칼 컬렉션 등에도 들어있다는 유명 칼이다. 그리고 금문 고량주는 2015년 마잉주 대만 총통이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을 만날 때 선물로 증정했다. 이를 계기로 양안 화해의 술이라는 새로운 상표를 얻게 된다.

진먼 포격전 당시 워낙 많은 포탄이 떨어지다 보니 불발탄도 많았는데, 대부분 고량주의 원료인 수수밭에서 많이 나오게 된다. 결국 술은 미움과 증오의 포탄조차 포용하고 품는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 금문 고량주가 알려주는 또 다른 술의 본질이 아닌가 싶다.

 

● 명욱 주류문화 칼럼니스트는…

 

주류 인문학 및 트렌드 연구가. 숙명여대 미식문화최고위 과정, 세종사이버대학교 바리스타&소믈리에학과 겸임교수. 저서로는 ‘젊은 베르테르의 술품’과 ‘말술남녀’가 있다. 넷플릭스 백종원의 백스피릿에 공식자문역할을 맡았다.


명욱 주류문화 칼럼니스트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오마이걸 아린 '청순&섹시'
  • 오마이걸 아린 '청순&섹시'
  • 임지연 '여신의 손하트'
  • 이주빈 '우아하게'
  • 수현 ‘눈부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