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 함정에서도 휴대전화로 통화나 인터넷 사용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해군병 지원율이 하락하는 것에 대한 대책으로 풀이된다.
12일 해군에 따르면 최근 저궤도 상용위성통신을 활용한 함내 이동통신 환경 구축하는 시범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최종일 해군 서울 공보팀장은 이날 국방부 정례브리핑에서 “함정 승조원의 근무여건 개선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검토하고 있다”며 “작전보안이 준수되는 가운데 (함정) 1척에 대해서 시범을 해볼 계획”이라고 밝혔다.
4억5000만원 규모의 이번 시범사업 함정 외부에 상용위성 안테나를 설치하고 함정 내부에 전원공급기 및 위성 라우터와 와이파이(Wi-Fi) 공유기 등을 설치하는 사업이다. 이런 환경이 구축된다면 장병들은 함정 내에서도 와이파이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고 070 인터넷 전화로 외부와 통화가 가능해진다.
그동안 함정 내 휴대전화 사용 제약은 해군 입대를 기피하는 가장 큰 원인으로 꼽혀왔다. 함정 내에서는 작전위치 노출 등의 문제로 휴대전화의 유심을 제거한 상태로 사용해야 했다. 휴대전화에 저장된 동영상이나 게임 등은 할 수 있지만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접속하거나 가족들과 통화를 할 수 없었다.
이로 인해 해군 병사 정원 대비 지원자 비율은 2020년 173.5%, 2021년 225.3%에서 2022년 124.9%로 줄었다. 이에 따라 불합격 인원 등을 제외한 정원 대비 실제 입영률은 2020년 100.5%, 2021년 94.3%에서 2022년 70.1%로 급감했다. 함정 전투력 유지뿐만 아니라 해군 인력획득을 위해 휴대전화에 대한 작전보안 우려를 기술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했다.
해군은 저궤도 상용위성을 활용한다면 위치 노출에 대한 우려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민간 통신망을 사용하면 지상 기지국을 통해 연결되기 때문에 전파를 포착하면 일직선 거리에 있는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지만 위성통신을 활용하면 수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기술적으로 이를 포착하기 어렵다는 게 해군 관계자의 설명이다. 실제로 미 해군의 경우 항공모함 등에 와이파이를 설치해 함정 근무자들이 제약을 받지 않고 휴대전화를 사용하기도 한다.
해군은 오는 4월쯤 시범사업 업체를 선정하고 4개월간 시험운용을 통해 함정 위치 노출 여부를 평가한 뒤 다른 함정에도 적용할지 결정할 계획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