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정읍 지역 한 산업단지에서 염산이 대량 누출되는 사고가 나 소방 당국이 긴급 방제를 벌였다.
19일 전북소방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8시43분쯤 정읍시 북면 제3일반산업단지 내 글리세린 합성 공장에서 염산이 누출됐다는 신고가 접수돼 긴급 방제 작업에 돌입했다.
![](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4/12/19/20241219513880.jpg)
해당 공장 한 작업자 119에 전화를 걸어 “출근해서 염산이 누출된 사실을 알게 됐다”고 밝혔다.
이에 소방대원들은 화학 보호복 등을 착용하고 염산 제거 작업에 나섰으며,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는 것으로 확인했다.
조사 결과 이 사고는 순도 35% 염산이 담긴 15t용량의 대형 탱크 밸브가 파손돼 10t가량이 외부로 누출됐으며, 그중 일부는 하수도로 유입된 것으로 파악됐다.
정읍시는 안내 문자를 발송해 인근 주민들이 창문을 닫고 외출을 자제해 줄 것을 당부했다. 또 누출된 염산 일부가 하수관로를 타고 인근 소하천으로 흘러들어감에 따라 방제둑을 설치하고 흡착포 등을 활용해 제거 작업을 벌였다.
![](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4/12/19/20241219513881.jpg)
한편, 군산시는 최근 관내에서 이런 유형의 화학사고가 빈발하자 소방서와 함께 ‘화학물질 방재 장비함’을 곳곳에 설치해 만일의 사고 발생 시 소방 당국이 신속히 대응할 수 있게 했다.
화학물질 방재 장비함에는 화학보호복과 방독면, 화학물질 흡착포 등 총 13종 270점의 장비를 비치하고 사고 발생 시 누구나 즉시 장비를 활용할 수 있게 해 신속한 초기 방제와 피해 확산을 막는 데 기여하게 될 전망이다.
방재 장비함이 구축된 곳은 군산 화학구조대와 어린이교통공원, 삼양화인테크놀로지, 이피캠텍 2공장 등 4곳이다.
군산에서 최근 5년간 발생한 화학사고는 총 25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같은 기간 전북 지역에서 발생한 전체 화학사고 건수(43건)의 절반을 웃도는 수치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