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다음 해 대내외 정책 방향을 결정하는 연말 노동당 전원회의에서 미국이나 한국에 대해 예년에 비해 절제된 모습을 보였다. 미국 권력 이양기, 한국의 계엄·탄핵 국면 속 정치 위기 심화 등 북한 주변의 불확실성을 의식한듯 대내 메시지에 주력한 것으로 분석된다.
29일 조선중앙통신 등을 통해 보도된 전원회의에서는 ‘대미 최강경 대응 전략’을 재확인했지만 구체적 내용은 포함되지 않았다. 내달 출범하는 미 트럼프 2기 정부의 구체적인 대북정책이 확인되지 않은 상황에서 일단 '로키'(low-key·절제된 방식)를 유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번 회의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참가한 가운데 23일부터 27일까지 열렸다. 미국 관련 언급은 많지 않았고, 핵무력 관련 내용도 전혀 보도되지 않았다. 최근 한국의 탄핵 정국이나 ‘적대적 두 국가관계’ 등을 언급하지 않은 점도 눈에 띈다.
통일부는 이날 북한 전원회의를 분석한 자료에서 “예년보다 일찍 보도해 개최시기·발표형식 등에서 통상적 관례를 벗어났다”며 “대내 체제결속에 집중한 채 대외 메시지는 최소화했다”고 밝혔다.
북한은 미국에 대해 “반공을 변함없는 국시로 삼고있는 가장 반동적인 국가적 실체”라며 “국익과 안전보장을 위하여 강력히 실시해 나갈 최강경 대미 대응전략이 천명됐다”고 밝혔다.
최강경 대응 방침이라는 문자에 비해 내용은 소략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이에 대해 대외용이 아닌 내부용이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양 교수는 “이들(미국)과의 적대 관계 형성이 핵무력 고도화의 정당성 명분이자 김정은 위원장의 최고 치적이 될 국방분야 5개년 사업의 완료를 위한 전제가 된다”며 “큰 틀에서 트럼프 신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대미비난을 자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북한이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 소식을 아직 보도하지 않는 등 신중한 태도를 취하고 있는 것과 무관치 않은 것으로도 해석된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트럼프의 대북 정책 기조가 확실치 않아 전원회의에서 계획이 나올 필요가 없다"며 "트럼프 당선인의 취임사가 나온 이후인 차기최고인민회의에서 (미국에 대한) 초기 입장이 나올 것 같다"고 분석했다.
이번 전원회의에 대남메시지가 아예 사라진 것도 눈에 띈다. 김 위원장은 남한에 대해 "미국의 철저한 반공 전초기지"라고 언급하긴 했지만, 남북관계에 대한 평가는 따로 없었다.
지난해 연말 전원회의에서 그가 천명한 적대적 남북 두 국가론과 관련한 추가 지시도 나오지 않았다. 북한군의 대규모 러시아 파병과 불안정한 남한의 탄핵 정국 속에서 굳이 남북간긴장을 고조시킬 필요가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러북 정상회담이나 러시아 파병 등 러북 협력에 대한 언급도 하지 않았다. 직접적인 표현 대신 “중대한 전략적 의의를 가지는 성과들을 이룩”, “강력한 자주역량으로서의 국제적 지위를 확고히 차지” 등으로 썼다.
양 교수는 “러시아와의 밀월관계가 김 위원장의 가장 큰 업적이지만 친선적이고 우호적인 나라와 관계 발전을 도모했다는 식으로 에둘러 표현했다“며 “이는 대러밀착에 대한 대중관계 상의 불편한 심기를 의식해 자화자찬의 수위를 조절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북한이 2025년에는 적어도 상당 기간 내부 문제 해결에 집중할 것임을 명확하게 시사했다”며 “대외 사업 부문에서 간략하게 대미 원칙적 입장만 언급된 것은 북한을 둘러싼 주변 정세의 불확실성에 대한 판단에 기초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