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종대왕급 이지스함. 사진=해군 홈페이지 |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10일 정례브리핑에서 “현재 우리 해군은 이지스함 3척을 갖고 있다”며 “하지만 4척을 기본으로 1척은 운영, 1척은 대기, 1척은 정비하는 개념으로 움직인다는 측면에서 볼 때 현재의 3척 체제로는 상당히 바쁘게 운영을 해야한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앞으로 기동함대 전력을 강화하려면 이지스함이 더 있어야 한다”며 “이는 국회 국방위원회의 요구이기도 하다”고 덧붙였다.
군 관계자는 “이지스함이 6척으로 늘어나면 기동전단을 3개까지 구성할 수 있다”며 “3개 기동전단으로 구성된 전략기동함대 창설도 가능할 것”라고 말했다.
방위사업청이 지난해 국회의 요구로 수행한 ‘해상전력 증강 방안’ 용역결과에 따르면 독도와 이어도 등의 수호를 위해서는 3∼4개 기동전단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1개 기동전단에는 이지스 구축함 2척과 한국형 구축함(4천200t급) 2척, 작전 헬기 16대, 수송함 1척, 차기잠수함(3천t급) 2척, 해상초계기(P-3C) 3대, 군수지원함 1척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 건조되는 이지스함은 2020년대 중반에 모습을 드러낼 것으로 보이며, 4조원의 예산이 투입될 것으로 전망된다.
박수찬 기자 psc@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