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광화문(사진)에 가면 남다른 추억이 떠오른다. 2007년, 지금으로부터 꼭 10년 전의 일이다. 당시 광화문은 1968년 복원된 것으로, 경복궁 정문임에도 불구하고 위치나 각도가 틀어져 궁궐의 축과 맞지 않았다. 그래서 광화문의 위치를 찾아 새로 복원하는 프로젝트가 한창이었다. 광화문의 ‘제 위치’를 찾는 임무를 띠고 발굴조사를 담당했던 때였다.

발굴조사는 문헌기록을 바탕으로 기존 위치보다 약 11m 남쪽, 즉 당시 차들이 쌩쌩 달리던 세종로 아스팔트 아래가 대상이었다. 모두가 이미 없어졌을 거라 비관했지만, 결과는 대반전이었다. 광화문의 기초석과 월대 기단석이 고스란히 발견된 것이다. 확인된 광화문의 규모는 약 30×15m에 이르고, 돌과 흙을 번갈아 쌓은 기초의 두께가 약 2m에 달했다. 그뿐만이 아니었다. 발굴 초창기에는 미처 알지 못했지만, 광화문 기초 2개가 겹쳐 있는 것이 아닌가. 경복궁은 태조 연간 중건된 이후 임진왜란 때 소실되고 고종 연간에 다시 지어졌는데, 광화문도 그러한 역사를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었던 것이다.

지금의 광화문은 이러한 발굴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복원되었다. 복원된 광화문 아래에는 그때 당시 발굴했던 조선시대 광화문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많은 사람들이 이 사실을 모를 것이다. 그리고 광화문 앞으로 난간석이 몇 개 있는데, 그것은 월대를 일부 복원해 놓은 것이다. 월대는 광화문으로 들어가기 위한 넓은 단으로 원래는 그 길이가 52m 정도 되지만, 도로 부분은 발굴할 수가 없어 일부 난간석만 복원해 놓고, 대신 그 자리를 노랗게 표시해 두었다. 광화문 앞 도로에 노란색 박스 표시가 바로 그것이다.

뉴스에서 월대를 추가로 복원한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당시 월대를 다 발굴하지 못해 아쉬웠는데, 이렇게 경복궁이 하나하나 제 모습을 찾아가는 것 같아 굉장히 기쁘다. 앞으로 세종대왕이 지은 ‘광화문(光化門)’의 이름처럼 빛이 만방에 떨쳐지는 명소로 더욱 거듭나길 기대한다.

최인화 국립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관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수지 '치명적인 매력'
  • 수지 '치명적인 매력'
  • 안유진 '순백의 여신'
  • 고민시 '완벽한 드레스 자태'
  • 엄현경 '여전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