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트럼프, 김정은에 '종전선언' 약속하고 지키지 않았다"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18-08-30 14:56:05 수정 : 2018-08-30 15:47:13

인쇄 메일 url 공유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12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회담 직후에 한국전 종전 선언문에 서명하겠다는 약속을 했다고 미국의 언론 매체 복스(Vox)가 2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 약속을 지키지 않아 현재 북·미 간 후속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졌다고 이 매체가 북·미 양측 간 협상 내용을 잘 알고 있는 소식통들의 말을 인용해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 정부는 특히 미국이 그런 문서에 서명하기 전에 북한이 먼저 대부분의 핵무기를 해체하라고 반복적으로 요구하고 있다고 이 매체가 지적했다. 이 때문에 북한과 미국 간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졌고, 북한이 갈수록 미국에 호전적인 발언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외교 소식통은 이 매체에 “트럼프 대통령이 ‘평화 선언’(peace declaration) 약속을 해놓은 뒤 골대를 옮겼으며 이 선언에 조건을 붙임으로써 북한은 미국이 약속을 파기한 것으로 여겨 미국에 화가 나 있다”고 말했다.

6·12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 당시에 김 위원장이 종전 선언을 먼저 요구했는지 아니면 트럼프 대통령이 먼저 이 문제를 제기했는지 불확실하고, 트럼프 대통령이 이 선언에 언제까지 서명하겠다고 했는지 드러나지 않았다고 이 매체가 전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6월1일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이 백악관으로 트럼프 대통령을 예방했을 당시에도 김 부위원장에게 이와 동일한 약속을 했다고 한 외교 소식통이 말했다.

이 매체는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이 정상회담 공동 성명에 서명했고, 여기에는 평화 체제 구축이 비핵화 공약보다 먼저 기술돼 있어 북한이 핵무기 양보에 앞서 종전 선언을 먼저 하자고 주장하는 근거가 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헤더 노어트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최근 대북 문제를 둘러싼 한·미 간 균열 보도가 과장돼 있고, 실제 현실은 그렇지 않다고 밝혔다. 노어트 대변인은 “우리가 한국과 긴밀하게 조율하고 있다”면서 “한국과 일본 등 다른 여러 나라의 지원이 없었다면 북한과 대화를 하는 이 지점까지 우리가 도달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워싱턴=국기연 특파원 ku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
  •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
  • 조이현 '청순 매력의 정석'
  • 에스파 지젤 '반가운 손인사'
  • VVS 지우 '해맑은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