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는 올해 총 60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대기오염집중측정소 1개소를 신규 설치하고 대기오염측정소 5곳을 추가로 운영할 계획이라고 23일 밝혔다. 이에 따라 전북권에서 미세먼지 등 대기질을 측정할 수 있는 곳은 모두 30곳으로 늘어나게 된다.

대기오염집중측정소는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와 황사 등 물리·화학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측정하고 장거리 이동에 따른 외부 영향 기여도, 고농도 오염현상 원인 등 권역별 대기질 특성을 파악하는 곳이다. 특히 미세먼지 농도뿐만 아니라 미세먼지의 상세 구성성분인 탄소·이온·중금속, 미세먼지의 입경 크기 분포와 연직 분포 등을 정밀하게 측정한다. 분석 결과는 한반도 미세먼지 배경 농도와 국외 유입 경로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한다.
대기오염집중측정소는 지방자치단체가 장비를 설치해 무인으로 운영 중인 대기오염측정소와 달리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이 설치하고 전문 연구원들을 상주시켜 운영한다. 현재 인천 백령도 등 전국 6곳에서 운영 중이며, 지난해 경기도 안산(경기권)과 충남 서산(충청권)을 추가해 8곳으로 늘린 데 이어 올해는 전북권과 강원권으로 확대한다.
전북도는 또 대기오염측정소 5개소를 올해 주요 시·군에 추가로 설치해 보다 정밀한 대기질 정보를 제공할 방침이다. 대기오염측정소는 매시간 단위로 50분 동안 미세먼지를 포집·분석해 환경부 ‘에어코리아’, 전북도 ‘실시간 대기정보시스템’ 앱과 도심지 전광판 등을 통해 주민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있다. 전북지역 대기오염측정소는 1989년 군산시 신풍동에 처음 설치한 이후 현재 14개 시·군 전역 24개 지점에서 운영하고 있다.
전주시는 정부 합동 미래먼지국가전략프로젝트사업단과 함께 미세먼지로부터 스스로 건강을 보호하고 이웃의 건강도 지켜주는 ‘시민 파수꾼’을 양성한다. 시민 파수꾼은 일정 교육을 통해 미세먼지 특성과 미세먼지 발생 시 대응요령, 생활 속 미세먼지 저감 실천방법 등을 터득한 뒤 경로당이나 유치원 등에 강사로 나서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맡는다. 향후 지자체의 미세먼지 분야 대응책 마련과 정책 수립 시 주민 대표로 참여해 의견을 제시한다.
전주시 관계자는 “시민 파수꾼은 미세먼지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생활 속 대처 요령 확산 등에 앞장서게 될 것”이라며 “시민들이 미세먼지로부터 자유롭게 숨 쉴 권리를 되찾을 수 있도록 사물인터넷 기반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등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주=김동욱 기자 kdw7636@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