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고릴라 가면 쓴 게릴라걸스, 뿌리깊은 여성차별·편견에 맞서다 [박상현의 일상 속 미술사]

입력 : 2019-12-06 06:00:00 수정 : 2019-12-05 21:22:53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⑮ 리스트에서 제외되는 여성들 / 1985년 미 뉴욕현대미술관 전시회 / 선정 작가 165명 중 여성 13명 불과 / 뿔난 여성들 충격적 가면쓰고 시위 / 고릴라 가면 씌운 ‘그랑 오달리스크’ / 미술계의 남성중심 권력구조 고발

지난 9월 세계적인 경제 전문지인 포브스가 세계에서 가장 혁신을 주도하는 리더 100명의 리스트를 발표했다. 이런 리스트는 항상 사람들의 눈길을 끈다. 그것을 선정하는 주체 선발의 공정성, 객관성에 신뢰가 가든 가지 않든 사람들은 누가 리스트에 포함되었는지 알고 싶어서 일단 클릭을 한다. 사실 그런 호기심을 잘 알기 때문에 매체들은 ‘세상에서 가장 섹시한 인물’ 따위의 리스트를 꾸준히 만들어 발표하는 것이기도 하다. 한마디로 잘 팔리는 기사다.

그런데 이번에 포브스가 발표한 기사는 큰 역효과가 나버렸다. 포브스가 발표한 100명 중에 여성은 단 한 명밖에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21세기에 혁신적인 인재의 99%가 남자라는 받아들이기 힘든 주장에 사람들은 “남성중심적 사고를 가지고 기준을 만들었기 때문에 그런 결과가 나온 것”이라고 크게 반발했다. 근래 들어 달 착륙부터 인터넷 발명까지 ‘남성들의 작품’처럼 여겨진 인류의 많은 업적들에 여성들이 결정적으로 기여했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그것이 책과 영화로 등장하는 일이 흔한데, 포브스의 선정은 그런 세계적인 추세에 완전히 어긋나는 일이었기 때문이다. 포브스는 비판을 받자마자 “우리가 일을 그르쳤다(We blew it)”고 시인하는 발표를 했고, 앞으로 기준을 좀 더 정확하게 세우겠다고 약속했다.

미술관에 소개된 아티스트들 중 여성은 5%인데 누드화에 등장한 인물의 85%가 여성임을 지적하는 ‘게릴라걸스’의 포스터(1989).

그런데 왜 주요 업적에 참여한 여성들의 이름은 빠지고, 잊혀지는 것일까?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그중 하나가 남성중심사회의 오래된 선입견이다. 가령, 같은 일을 하는 과학자와 엔지니어들도 여성이면 ‘저 사람은 중요하지 않은 단순 업무를 하는 사람이겠지’하고 단정 짓는 버릇이다. ‘여성은 남성들이 하는 업무를 보조한다’는 오래된 선입견은 남성 직원과 똑같은 일을 하는 여성 직원이 앉아 있으면 “커피 하나 갖다 달라”고 말을 쉽게 할 수 있는 세상을 만들어냈고, 사람들은 여성 과학자, 엔지니어, 최고경영자(CEO)가 하는 일은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단순하고 단면적일 것으로 무의식적으로 깎아내리는 것이다.

2019년에 포브스의 리스트가 문제가 되었다면 34년 전인 1985년에는 미국 뉴욕 현대미술관(MoMA)의 리스트가 문제가 되었다. 미술관에서 ‘전세계의 최신 그림과 조각 동향’을 보여주는 전시회를 개최했는데, 거기에 들어간 165명의 현대 작가들 중에 포함된 여성 숫자는 10%도 되지 않는 13명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특히 그 전시회를 준비한 큐레이터가 “이번 전시회에 포함되지 않은 예술가들은 그(자신)의 커리어를 진지하게 다시 생각해봐야 할 것”이라고 말하면서 ‘their career’라는 중성적인 표현을 사용하지 않고 ‘his career’라는 남성형을 사용한 것이 큰 분노를 일으켰다. 예술가는 남성이라는 고정관념을 드러냈고, 자신의 고정관념에 부합하지 않는 사람들은 예술을 포기하라는 폭언과 같은 말이었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주목할 것은 ‘그 큐테이터의 기준이 얼마나 공정할 수 있느냐’이다. 상당히 주관적일 수밖에 없는 예술작품에 대한 판단을 ‘예술가는 남성’이라는 선입견에서 출발했다면 여성작가들이 내린 미적판단은 ‘다른’ 것이 아니라 ‘덜떨어지는’ 혹은 ‘함량미달’의 것으로 봤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문제를 공개적으로 제기하는 것은 위험한 일이었다. 근래에는 그나마 미투운동을 통해 여성들이 겪는 성희롱, 성폭행을 공개적으로 이야기할 수 있는 분위기가 형성되기 시작했지만 특정한 커리어에 있는, 특히 전문적인 일을 하는 여성의 경우 남성 중심의 사회에서 이런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자신의 커리어를 포기하는 일과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대학원 조교가 교수에게 성추행을 당해도 그것을 입증하기 위해 싸우는 과정에서 자신은 계속해서 학계에 살아남을 수 없게 되는 한국적 상황, 영화배우가 힘있는 제작자에게 성추행을 당해도 그것을 이야기하면 자신의 배우 경력은 끝나게 되는 헐리우드의 상황 등이 미투운동이 있기 전에 가해자들이 마음놓고 범죄를 저지를 수 있었던 이유다.

그런데 예나 지금이나 뉴욕 현대미술관은 세계 현대미술에서 가장 중요하고 힘이 있는 기관이다. 그런 미술관이 권위를 가지고 미적인 판단을 내려서 개최한 전시회를 두고 그 선발기준에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나는 미술계를 떠나겠다’는 선언이나 다름없다. 따라서 이 문제를 제기하기로 한 여성들은 창의적인 방법을 사용하기로 했다. 바로 자신들의 정체를 감추고 가면을 쓰고 시위를 하기로 한 것이다. 그냥 가면도 아니고 시각적으로 충격을 줄 만한 무서운 고릴라 가면이었다.

1980년대 미술계의 문제를 지적하기 위해 탄생한 게릴라걸스는 21세기 들어와서도 활발하게 활동하면서 그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아카데미상의 남성중심주의를 비판하는 할리우드의 광고판 (2002)

그래서 탄생한 것이 ‘게릴라걸스(Guerilla Girls)’라는 단체다. 그들은 대규모 정규군에 맞선, 작고 힘없는 저항군이 택하는 전술인 ‘게릴라’ 전술을 이용해서 언론과 대중의 관심을 끌어서 현대미술관의 권력에 저항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로 했다. (우리말에서는 고릴라와 게릴라가 완전히 다른 발음으로 들리지만, 영어에서는 둘 다 ‘거릴라’에 가깝게 발음하기 때문에 게릴라걸스는 고릴라걸스로 들리기도 하는 걸 이용해서 고릴라 가면을 사용한 것이다).

이렇게 정체를 감추고 미술계의 남성중심 권력구조를 비판하기 시작한 게릴라걸스는 미국 뉴욕을 시작으로 지난 30년 넘게 전세계 미술관과 갤러리들의 작가 선정과정에 개입된 남성중심적인 시각을 폭로해왔다. 대표적인 것이 19세기 프랑스 신고전주의의 거장 장 오귀스트 도미니크 앵그르 누드화 ‘그랑 오달리스크’(1814)를 차용한 포스터다. 모델의 얼굴에 게릴라걸스가 사용하던 고릴라 가면을 씌운 이 포스터는 뉴욕의 또 다른 대표적인 미술관인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편견을 이렇게 지적한다. ‘(이 미술관의) 현대미술 섹션에 소개된 아티스트 중 여성은 5%밖에 되지 않는데, 그 섹션에 소개된 누드화 속 인물은 85%가 여성이다. (결국) 여성이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들어가려면 옷을 벗어야 하는 것인가?’

이 지적은 큰 반향을 일으켰다. 남성 중심 시각의 문제점을 지적하기 위해 길게 설명하지 않고 5%와 85%라는 충격적인 숫자로 문제의 핵심을 직관적으로 보여줬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문제의 핵심은 “여성은 바라보는 대상이지, 창작의 주체가 아니다”라는 인류 역사 속에 깊숙이 자리잡은 차별적인 편견이다.

게릴라걸스는 ‘여성 아티스트가 가진 장점’이라는 리스트를 발표하기도 했다. 여성 아티스트가 겪는 어려움을 비꼬아 제시한 이 13개 항목의 ‘장점’들에는 “성공에 대한 부담이 없다”(거의 불가능하니까), “80세가 넘으면 유명해진다”(여성은 평생을 바쳐야 죽기 전에 간신히 유명해진다), “뭘 만들어도 여성성을 표현했다는 이야기를 듣는다,” “자신의 아이디어는 다른 사람(남성)들이 가져다 사용해준다,” “천재라는 부담스러운 찬사를 들을 필요가 없다”처럼 재치있고 뼈아픈 지적들이 가득하다.

21세기에 들어온 지도 20년이 다 된 시점에 포브스가 발표한 남성중심의 편견이 가득한 리스트를 보면서 세상은 변하지 않는다는 좌절감이 들 수도 있다. 하지만 한 편으로는 포브스의 문제를 지적한 사람들은 더 이상 고릴라가면을 쓰지 않았고, 포브스라는 전통 매체가 하루이틀 만에 사과했을 만큼은 변했다. 사회는 그렇게 아주 조금씩 변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권은비 '매력적인 손인사'
  • 권은비 '매력적인 손인사'
  • 강한나 '사랑스러운 미소'
  • 김성령 '오늘도 예쁨'
  • 이유영 '우아한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