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韓·美 FTA 발효 8주년…상품 교역 8년간 1.3배 증가

입력 : 2020-03-15 20:31:20 수정 : 2020-03-15 20:31:19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교역액 2015·2016년 빼고 해마다 상승 / 2019년 수출 10.4% 줄었지만 對美 수출 0.9% ↑ / 수입 5.1% ↑… 무역수지 흑자 폭은 감소 / 美, 2019년 對韓 투자 68억달러… 역대 최대

15일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8주년을 맞이했다. 2012년 3월 15일 발효 이후 우리의 대미 상품 교역액이 1.3배 늘어나는 등 FTA 체결 이후 양국 사이의 경제적 교류는 증가하고 있다.

이런 흐름은 수출 부진에 시달린 지난해도 이어졌다. 이날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해 대미 상품 교역액은 1352억달러로 발효 첫해인 2012년(1018억달러)에 비해 334억달러 늘었다. 대미 교역액은 2015년(-1.6%)과 2016년(-3.6%)을 제외하면 해마다 1.0∼11.6%씩 상승했다. 2017년을 제외한 나머지 해의 대미 교역액은 세계 모든 나라를 상대로 한 교역액 증감률을 웃돌았다.

 

지난해도 전체 교역액이 8.3% 감소했지만 대미 교역액은 2.7% 늘었다. 지난해 수출 역시 전체 수출액이 10.4% 줄어들었지만 대미 수출액은 733억달러로 전년 대비 0.9% 늘었다. 대미 주요 수출 품목은 자동차와 차부품, 반도체, 석유제품 등이다. 석유제품(20.7%), 플라스틱제품(15.0%) 등은 수출 증가를 견인했다. 미국 경기 활성화와 낮은 실업률이 석유제품 수요 증가로 이어졌고, 미국 경기 상승·제조업 호황에 따라 플라스틱제품 수요가 증가했다는 설명이다. 전기자동차용 플라스틱제품의 수출도 늘었다.

지난해 대미 수입은 619억달러로 전년 대비 5.1% 증가해 전체 수입액이 6.0% 줄어든 것과 대조적이었다. 주요 대미 수입 품목은 원유, 반도체, 항공기 및 부품이었다. 특히 우리가 에너지 수입선을 중동에서 다른 지역으로 다변화하면서 미국산 원유(99.7%)와 액화석유가스(LPG·10.6%) 수입이 크게 늘었다. 이밖에 항공기 및 부품(13.3%), 육류(6.5%), 자동차(4.4%) 등의 수입도 증가세였다.

지난해 미국의 한국 수입시장 점유율은 중국(21.3%) 다음으로 많은 12.3%였다. 미국의 비중은 2018년보다 1.3%포인트 증가해 3위 일본(9.5%)과의 격차가 더 벌어졌다. 대미 무역수지는 114억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수출입이 모두 늘어났지만 수입이 더 많이 늘면서 흑자폭은 전년(138억달러)보다 줄어들었다.

지난해 미국의 한국에 대한 투자는 신고 기준 68억4000만달러로 전년 대비 16.4% 증가해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FTA 발효 후 8년간 미국으로부터의 누적 투자 유치액은 375억9000만달러다. 이는 발효 전 8년 누적(185억9000만달러)보다 두 배 확대된 수치다. 지난해 미국의 대한국 투자는 제조업이 전년보다 9.7% 증가한 19억5000만달러, 서비스업이 20.7% 늘어난 48억8000만달러를 각각 기록했다.

 

이우중 기자 lol@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이주명 '완벽한 미모'
  • 이주명 '완벽한 미모'
  • 수지 '우아한 매력'
  • 송혜교 '반가운 손인사'
  • 김희애 '동안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