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인구가 사상 처음으로 4개월 연속 자연감소했다. 지난 4개월 동안 출생아보다 사망자가 더 많았다는 뜻이다. 올해 인구 자연감소는 1983년 사망자 통계를 작성한 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할 것이 확실시된다. 수년 전부터 예고됐던 ‘인구 절벽’이 본격화하는 셈이다.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2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지난 2월 전국 출생아 수는 2만2854명으로 1년 전보다 2919명(11.3%) 줄었다. 2월 기준으로 1981년 이후 출생아 수가 가장 적다.
출생은 계절 등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통상 같은 달끼리 비교하는데, 출생아 수는 2015년 12월 이후 51개월 연속 1년 전 같은 달보다 감소를 기록 중이다. 출생아 수는 2016년 4월부터 올해 2월까지 47개월 연속으로 매달 전년 동월 대비 최소 기록을 갈아치웠다.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를 뜻하는 조출생률도 5.6명으로 역시나 동월 기준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인구 1000명이 채 6명의 아이도 낳지 않는다는 의미다. 2월 조출생률은 2012년 10.2명을 기록한 이후 가파른 하락세를 보이며 10년도 안 돼 5명대로 떨어졌다.
2월 사망자 수는 2만5419명으로 1년 전보다 2492명(10.9%) 증가했다. 사망자 수는 2월을 기준으로 1983년 집계 이후 역대 최대다. 인구 1000명당 사망자 수를 의미하는 조사망률은 6.2명이었다.
출생아는 역대 최소, 사망자 수는 역대 최대를 기록하면서 2월 자연증가 인구는 -2565명을 기록했다. 1월에도 자연증가 인구가 -1653명을 기록해 2월까지 누적 자연감소는 -4218명이 됐다. 1983년 통계 집계가 시작한 이후 2월 기준으로 자연증가 인구가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도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 1월도 마찬가지로 1월 기준 자연증가 인구가 첫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자연증가 인구는 지난해 11월 마이너스를 기록한 이후 1983년 통계 집계 이후 처음 4개월 연속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연말보다 연초에 출산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연말에는 기온이 떨어지면서 사망자 수가 늘어난다. 그래서 12월에나 자연증가 감소가 나타났는데 이제는 연간 흐름으로 굳어질 가능성이 크다. 김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올해 우리나라 연간 인구가 처음으로 자연감소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2월 신고된 혼인 건수는 1만9104건으로 1년 전보다 905건(5.0%) 늘었다. 혼인신고일 수가 늘어서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이혼 건수는 8232건으로 전년 동월 8204건보다 28건(0.3%) 늘었다.
◆인구 자연증가, 올해 첫 마이너스 전망
2020년은 통계청이 출생아, 사망자 통계를 함께 작성한 1983년 이래로 출생아 수에서 사망자 수를 뺀 자연증가 인구가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첫해가 될 전망이다. 자연증가 인구가 7900명을 기록한 2019년은 한국에서 인구가 자연 증가한 마지막 해로 기록될 가능성이 크다. 정부는 코로나19가 혼인율, 출산율 감소 추세를 가속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인구 감소 흐름은 더욱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28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등을 분석하면 통계청은 올해 출생아 수를 29만2000명, 사망자 수는 32만3000명으로 추계했다. 현재 수준의 출산율과 기대수명 등을 가정한 ‘중위추계’ 기준이다. 현재보다 낮은 출산율과 기대수명을 가정하면 출생아는 26만3000명, 사망자는 33만9000명에 달한다. 올해 인구 자연감소가 많게는 7만6000명에 달할 수 있다는 뜻이다.
통계청이 이날 발표한 2월 인구동향에서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4개월 연속 앞지르며 인구 자연감소가 본격화된 것은 예고된 상황인 셈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사망자 수는 늘고 출생아는 줄어드는 흐름이 수년간 이어져 왔고 앞서 추계 등을 통해 예고한 인구 자연감소가 숫자로 확인되고 있는 것”이라며 “월별로는 출생아 수가 사망자 수를 앞지를 수는 있겠지만 올해 전체로는 마이너스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우리나라의 인구 자연감소 흐름은 ‘급격하다’는 말로도 부족하다. 2010년은 출생아가 47만명, 사망자가 25만5000명으로 자연증가가 21만5000명에 달했다. 한 해 21만명씩 늘던 인구가 10년 만에 인구 감소로 돌아서게 되는 셈이다. 인구 자연증가폭은 2013년 17만명을 기록하며 10만명대로 떨어진 뒤 불과 4년만 인 2017년 7만2000명대로 떨어졌다. 그리고 3년 만인 올해 마이너스로 전환이 유력하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타격도 예상된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은 지난 21일 ’제2기 인구정책 태스크포스(TF)’ 회의에서 “코로나19 충격은 결혼·출산 등에 부정적 영향을 미쳐 올해 출산율 감소 추세를 가속할 것으로 우려된다”면서 “생산연령인구 감소 대응을 위한 청년·여성·외국인 등 분야별 인력 활용 확대 방안과 생산성 제고 방안을 내놓는다는 계획”이라고 밝혔다.
세종=박영준 기자 yjp@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