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수도권大 절반 진로선택과목 미반영… 교과전형 영향 미미"

입력 : 2020-06-01 06:00:00 수정 : 2020-06-01 01:53:09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2022학년도 대입 학생부 반영법보니 / 현 고2부터 선택과목 3개 필수 이수 / 정성평가인 학생부종합전형과 달리 / 교과전형선 새로운 성적 산출법 필요 / 평가법 못 정하거나 아예 미반영도 / "대입 미반영땐 성적 줄세우기 회귀" / "점수 구애없이 자유탐구 가능" 분분

현재 고2가 대학에 들어가는 2022학년도 대입은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인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전면 적용된다. 학생들은 ‘공통 과목’을 통해 기초소양을 쌓은 뒤 적성과 진로에 따라 맞춤형으로 교육받을 수 있도록 개설된 ‘선택 과목’(일반·진로 중 선택)을 3개 이상 이수해야 한다. 성적 처리 방식에도 변화가 생겼다. 진로선택과목은 석차등급을 제외하고 3단계의 성취도(A-B-C)로 평가하되 원점수·평균·이수자 수·성취수준별 학생 비율을 함께 기재한다. 31일 유웨이 교육평가연구소의 도움을 받아 달라진 학생부 교과성적 반영 방법을 알아봤다.

◆정량평가 어려워… “새 기준 마련”

그간 학교, 입시현장에서 진로선택과목 평가는 첨예한 관심사였다. 학생부종합전형(이하 학종)은 진로선택과목과 지원 전공(계열)과의 관련성,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세특) 내용에 드러난 전공 또는 학업 관련 관심과 노력을 중요한 사항으로 평가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했다. 실제로 대학 입학사정관들은 학종에서 진로선택과목의 경우 석차등급이 아닌 과목별 성취도, 성취도별 분포비율, 원점수, 과목평균, 이수단위, 이수자 수 등을 최대한 활용해 학생의 학업적 역량을 평가하려고 할 것이다.

그런데 학생부교과전형(이하 교과전형)의 교과성적 평가에선 정량 평가를 원칙으로 하되 새로운 학업성적 산출방법을 만들어 사용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그래서 진로선택과목 평가에서 제외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이번에 발표된 전형계획에서도 아직 구체적인 산출방식을 결정하지 못한 대학이 여럿 있다.

◆“진로선택과목 미반영 대학이 절반”

교사 대다수는 대입 평가에서 진로선택과목의 반영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미반영 시 학생들의 진로선택과목 선택이 줄면서 고3 수업이 수능 문제풀이식으로 파행 운영될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취지 또한 ‘성적 줄 세우기 탈피’인 만큼 어떤 방식으로든 진로선택과목을 대입에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그러나 2022 전형계획에 나타난 현실은 만만치 않다.

학종은 정성평가이므로 진로선택과목을 포함해 전 과목을 반영하지만, 교과전형은 진로선택과목 반영·미반영 대학이 나뉜다. 교과전형에서도 진로선택과목의 반영 방법에 따라 입시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반영 여부나 방식이 매우 중요하다.

현재까지 공개된 대학들 활용 방식을 보면 성취도(A-B-C)에 점수를 부여해 활용하는 방안, 원점수·평균·성취비율 등을 활용해 대학이 자체 공식을 만드는 방안 등으로 크게 나뉜다. 후자는 상위 성취비율이 높을수록 해당 학교 수험생들이 손해를 본다.

입시현장에선 진로선택과목을 원천적으로 배제하기보단 일부 과목이라도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다수였다. 고교 교육의 정상 운영을 위해서다. 그러나 교과전형을 실시하는 수도권 주요 30개 대학의 전형계획을 분석하면 미반영 학교가 14곳으로 절반에 가깝다.

미반영에 대한 반응은 극과 극으로 갈린다. 대입에 반영하지 않으니 성적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적성·흥미에 맞는 과목을 수강할 수 있다는 의견, 진로선택과목 자체를 소홀히 하게 된다는 의견이 각각 나온다. 미반영 자체가 ‘2015 개정 교육과정 취지에 맞다’ ‘맞지 않는다’는 상반된 해석이 가능한 것이다.

◆“학년별 가중치 없는 대학도 많아”

교과전형에서 교과 성적을 정량 평가할 경우 학년별 반영비율(가중치) 설정 여부로 입시 전략이 갈라진다. 과거에는 ‘1학년 20%+2학년 30%+3학년 50%’ 등 가중치를 적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실제로 고3 교과목의 중요성이 매우 컸기에, 저학년 때 낮은 점수를 받아도 노력에 따라 성적이 상승곡선을 그린다면 합격 가능성이 커졌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선 1학년은 모든 학생이 공통 과목과 일부 선택 과목을 이수하고 2학년에는 일반선택과목 위주, 3학년에는 일반선택과목과 진로선택과목을 이수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성취도만 나오고 등급이 나오지 않는 진로선택과목의 비중이 많은 3학년 성적에 비중을 두면 평가가 복잡해질 수 있다. 대학들이 학년별 반영비율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동수 기자 ds@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르세라핌 허윤진 '매력적인 눈빛'
  • 르세라핌 허윤진 '매력적인 눈빛'
  • 르세라핌 홍은채 '여신 미소'
  • 김혜수 '천사 미소'
  • 이세영 '하트 여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