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이 국제사회의 비판에도 상업적 고래잡이(포경)를 고집하고 있다.
국제포경위원회(IWC)의 상업포경 금지로 대형 고래류는 보호되고 있지만 일본은 IWC 탈퇴를 선언하고 고래잡이에 열 올리고 있다.
자민당 포경의원연맹 부간사장인 에지마 기요시 참의원 의원은 “포획량을 좀 더 늘리는 체제를 만들어서 고래 고기를 식문화로 확산시키는 데 힘써야 한다”며 “IWC가 고래의 보호와 지속적 이용이라는 본래의 두 가지 목적을 수행하는 조직이 되지 않는 이상 일본이 참가하는 것은 아마 없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정부 관계자의 상업포경 독려 분위기가 계속되자 관련 업자들은 오는 10월까지 40마리 포획을 목표로 세웠다.
20일 산케이신문 보도에 따르면 홋카이도 구시로 앞바다에서 포경이 2척이 조업 첫날 밍크고래 2마리를 포획했다.
지난해 이 지역에서는 총 33마리의 대형 고래가 포획됐다.
포획된 고래는 해체 작업 후 각지로 팔려나갈 예정이다.
고래를 포획한 업자는 “바다에 고래가 무리 지어 있어 향후 많은 포획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일본이 국제 사회의 비난을 감수하며 고래잡이에 나서는 건 고래잡이가 일본의 전통문화를 지키는 활동이라는 빗나간 의미 부여가 원인이다.
일본 문화청은 ‘고래와 함께 산다’는 제목으로 와카야마현의 포경을 2016년도 일본 유산 중 하나로 인증할 정도다.
이러한 가운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가 올해 초부터 확산하자 국제사회의 관심도 줄었다.
일본 정부도 자국의 고래잡이에 관한 국제사회의 관심이 크게 줄었다고 평가하고 있다.
모테기 도시미쓰 일본 외무상은 일본의 상업 포경에 관한 각국의 반응이 어떠냐는 물음에 “코로나19가 세계적으로 확산하기 시작한 후 각국 외교장관 등과 50차례 이상 전화 회담 등을 했으나 상대로부터 우리나라의 포경에 관한 우려가 있었거나 IWC에 관한 언급이 있었던 일은 없다”고 말한 바 있다.
에지마 참의원 의원은 “현시점에서 (IWC) 탈퇴로 인해 일본이 매우 불리하게 된 것은 없다”면서 되레 “(상업 포경으로 얻은 고래 고기는) 피를 나중에 빼는 조사 포경과 맛이 다르다는 것을 확실히 홍보해야 한다”고 말하기도 있다.
한편 호주 당국은 일본의 불법 포경 문제를 국제사법재판소(ICJ)에 제소했고 일본이 남극해에서 진행하고 있는 포경 프로그램이 조사 목적이 아니므로 금지한다는 판결이 2014년 내려졌다.
그 후 일본은 새로운 조사 프로그램을 만들어 고래잡이를 재개한 뒤 상업 포경을 허용하자고 IWC에 제안했다가 부결되자 지난해 6월 말 탈퇴하고 상업적 고래잡이에 나서고 있다.
이동준 기자 blondi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