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코로나 극복 단계에 돌입
회복과 도약이 목표” 정책 설명
방역·뉴딜·기후변화 질의응답도

문재인 대통령이 27일 세계경제포럼(WEF) 초청으로 전 세계 기업 CEO 및 언론을 상대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 및 경제 성과와 ‘한국판 뉴딜’ 정책, 기후변화 대응 등에 대해 우리 정부의 정책을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정치권에서 논란이 일고 있는 코로나19 손실보상제 논의 상황을 소개하며 한국적인 포용정책의 모델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4시부터 1시간 동안 WEF가 화상으로 개최한 ‘2021 다보스 어젠다 한국 정상 특별연설’에 참석해 기조연설 및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다. 다보스 포럼으로도 불리는 WEF는 매년 1월 스위스에서 연차 회의를 여는데 올해는 코로나19 방역 상황 등을 고려해 5월에 싱가포르 개최로 연기했다.
대신 25일부터 29일까지 ‘다보스 어젠다 주간’으로 정해 우리나라를 비롯해 중국, 유럽연합(EU), 독일, 프랑스, 러시아, 일본 등 13개국 정상 등을 초청, 화상회의를 개최하기로 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화상회의에서 “이제 한국은 ‘코로나19 극복’의 단계로 진입하여 포용적 회복과 도약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한국의 미래전략을 소개했다. 그러면서 “한국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코로나의 도전을 받게 되었을 때, 사회적 약자 그 누구도 배제하지 않는 ‘포용’의 정신을 해결의 이정표로 삼았다”며 “포용적 회복을 위해 위기 속에서 격차가 더 커지지 않도록 노력해왔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손실보상제 논의 등을 언급하면서 “실현된다면 앞으로 코로나와 같은 신종 감염병 재난을 함께 이겨내는 포용적인 정책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특히 코로나19 극복을 통한 일상의 회복 및 기후변화 대응 등 글로벌 이슈에 대해 책임 있는 중견국으로서 우리의 역할을 밝히며 △코로나19 대응 등 글로벌 보건의료 협력 △디지털·그린 뉴딜 등 한국판 뉴딜과 양극화 해소를 위한 사회안전망 확충 △2050 탄소중립 등 기후변화 대응 △글로벌 기업들의 한국 투자 유치 지원 등을 강조했다.
이도형 기자 scop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